혁신리더 포럼 연 정원오 구청장
공공분야 활용 방안 주제로 교육지난달엔 TF팀 ‘성동챗’도 구성
구청장 “스마트 기술 적극 활용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도시 조성” 정원오 서울 성동구청장을 포함한 성동구 직원들이 최근 화제를 모으고 있는 대화형 인공지능(AI) 플랫폼 ‘챗GPT’를 놓고 ‘열공 모드’에 돌입했다. ‘스마트 포용도시’를 표방하는 구는 챗GPT가 필요한 행정 분야를 발굴·대응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16일 구에 따르면 지난 10일 성동구청 3층 대강당에서 챗GPT 시대 공공분야 활용 방안을 주제로 혁신리더 성동포럼이 열렸다. 혁신리더 성동포럼은 급변하는 사회 흐름에 대응하고 변화를 주도하는 리더를 육성하기 위해 직원들을 대상으로 2014년부터 구가 운영하고 있다. 이번 포럼에서는 서울시에서 디지털 정책을 이끌고 있는 이상용 디지털 수석이 마이크를 잡고 챗GPT 시대 공공분야에서의 활용 방안을 소개했다. 이 수석은 “공공이나 정부도 챗GPT를 적용할 날이 빠르게 올 것”이라며 “지금부터 행정서비스에 활용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인프라를 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포럼에는 200여명의 직원이 참석하는 등 뜨거운 열기를 보였다. 김현숙 스마트도시과 팀장은 “국제 어워즈에 정책 출품을 준비하며 챗GPT로 번역을 시도해 봤다”며 “예산도 절감하고 사업 추진에 대한 영감도 얻을 수 있어 앞으로 공공분야에 다방면으로 사용하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정 구청장은 직접 챗GPT를 활용해 인사말을 써 봤을 정도로 관심이 크다. 정 구청장은 “이번 포럼이 직원들이 챗GPT와 같은 AI 기술을 이해하고 행정에 접목이 가능한지 분석하는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스마트 기술을 적극 활용해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도시를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성동적정기술연구회’는 성동챗과 더불어 스마트 포용도시를 이끄는 대표적인 학술 동아리다. 연구회는 최적의 기술을 접목해 최소 비용으로 자원을 절감하며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적정기술을 연구한다.
미래형 버스 승차대인 ‘스마트 쉼터’ 및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코로나19 출입자 명부 관리시스템’ 등이 ‘성동형 적정기술’ 사업으로 꼽힌다.
장진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