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점검 나선 이기재 구청장
준설토 제거하고 균열구간 정비
2020년부터 가동… 총길이 4.7㎞
시간당 100㎜ 폭우 처리 가능해
“비 많이 와도 걱정 없도록 준비”
이 구청장은 지난 15일 신월동에 위치한 신월빗물저류배수시설을 찾았다. 여름철을 앞두고 직접 현장에서 시설을 점검하기 위해서다. 이 구청장은 구명조끼와 방수장화, 안전모를 갖추고 지하 13층 깊이의 대심도 터널 입구로 내려갔다. 지름 10m에 달하는 거대한 터널 안은 바닥에 일부 흐르는 지하수를 제외하고는 깨끗하게 정비돼 있었다. 이 구청장은 “지난해 폭우 이후 빗물이 흘러가면서 남긴 1000㎥에 달하는 준설토를 모두 제거했고, 터널 내 일부 균열 구간도 모두 손봤다”면서 “오늘 정비 작업 결과를 눈으로 확인하러 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월빗물저류배수시설은 국내 유일한 ‘대심도 빗물터널’이다. 도심에 폭우가 쏟아졌을 때 하수처리 시설만으로 감당하지 못하는 빗물을 하천으로 흘려보내 침수 피해를 막는 역할을 한다. 2013년 착공해 2020년 5월부터 가동됐다. 지름 10m의 터널이 양천구 가로공원로에서 시작해 신월동, 목동유수지까지 총 4.7㎞가 이어진다. 최대 32만t의 빗물을 저류할 수 있고, 시간당 100㎜의 폭우를 처리할 수 있다.
지난해 8월 역대 최고 강수량을 기록한 폭우로 강남구와 관악구, 동작구 등 서울 곳곳에서 침수 피해가 발생했지만 양천구는 침수 피해가 없었다. 특히 상습 침수지역이었던 신월동에서도 하수구 역류로 인한 침수 피해가 1건도 접수되지 않았다.
서울시는 신월동 대심도 터널과 같은 시설을 종로·용산·강동·동작·관악·강남 등 6곳에 추가로 설치하는 사업을 진행 중이다. 광화문(종로)과 강남역 일대, 도림천(관악) 세 곳을 1차적으로 착공할 계획이다. 이 구청장은 “신월 대심도 터널이 아직까지 국내 유일한 대심도 터널이고 지난해 효과가 증명된 만큼 다른 지역의 대심도 터널 공사에 다양한 노하우를 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박재홍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