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감소 7곳 생활인구 첫 산정
지역별 맞춤 해법 찾기 활용 예정
행정안전부와 통계청은 1일 지역에 체류하는 사람까지 인구로 보는 새로운 인구 개념인 ‘생활인구’의 최초 산정 결과를 발표했다. 생활인구는 교통·통신의 발달로 이동성과 활동성이 증가하는 생활유형을 반영하기 위해 처음 도입됐다. 등록인구인 주민등록인구·등록외국인에 월 1회, 하루 3시간 이상 체류하는 사람을 더했다.
행안부는 ▲충북 단양군·충남 보령시(관광유형) ▲강원 철원군(군인유형) ▲전남 영암·경북 영천시(통근유형) ▲전북 고창군(외국인유형) ▲경남 거창군(통학유형) 등 7개 인구감소지역을 선정한 뒤 통신 3사의 이동통신정보를 결합해 지난해 4~6월의 생활인구를 산출했다. 그 결과 7개 지역 모두 등록인구보다 체류인구가 많았다. ‘머드축제’로 유명한 보령시는 체류인구가 주민등록인구보다 4.3배 많았다. 군부대가 많은 철원군은 4.1배, 외국인 계절근로자가 많은 고창군은 3.5배, 산업단지가 조성된 거창군은 최소 2배 이상 체류인구가 등록인구보다 많았다.
행안부는 이런 정보를 바탕으로 지역 맞춤형 인구감소 대응사업 추진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앞으로 89개 인구감소지역 전체의 생활인구를 산정해 분기별로 발표할 계획이다.
세종 강주리 기자
2024-01-02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