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월 연속 하락세, 정부에 시장격리 15만 톤을 건의
쌀 재고량이 줄지 않으면서 전남지역 등 산지 쌀값이 지난해 10월 이후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쌀값 안정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5월 5일 기준 산지 쌀값은 80kg 한 포대에 19만 원으로 지난해 10월 이후 계속 하락하고 있다.
5월 15일 기준 발표된 쌀값도 18만 9488원으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정부가 쌀값 안정을 위해 2023년 수확기 이후 총 5차례의 수급 안정 대책을 발표한 데 이어 지난 2월 식량 원조용(ODA) 쌀 10만 톤 매입에도 쌀값 하락세는 멈추지 않고 있다.
여기에 전남지역 농협 쌀 재고량은 4월 말 기준 전년보다 80% 증가한 18만 톤으로, 월별 쌀 판매량을 고려하면 올해 수확기 전까지 재고가 남는 것으로 예측돼 신곡 가격까지 불안한 상황이다.
이에 전남도와 농협 미곡종합처리장, 대한곡물협회, 농협 전남지역본부 등은 17일 2023년산 쌀값 하락 대책 마련을 위한 유관기관 대책회의를 갖고 정부에 시장격리 15만 톤을 건의하기로 했다.
농민들은 “미곡종합처리장이 보유한 재고 물량이 저가에 방출될 경우 쌀값 하락은 더욱 심화될 것.”이라며 “쌀값 하락에 따른 농협미곡종합처리장 손실은 올해 쌀을 매입하지 못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전남도와 유관기관들은 쌀값 정책 실패의 원인으로 생산량과 소비량 등 관측통계 부정확성을 지적하고쌀값 안정과 농민 손실 최소화를 위해 정부의 15만 톤 시장격리 등 실효성 있는 대책을 강조했다.
무안 류지홍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