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인재 양성… 5년간 45억 지원
“수도권 집중… 지역 배분 고려해야”
협약형 특성화고는 지자체, 교육청, 지역 기업, 특성화고 등이 협약을 맺어 연합체를 구성한 뒤 지역에 필요한 맞춤형 교육을 실현하는 특성화고의 한 유형이다. 지역 정주형 기술인재 양성을 위해 지난해 신규 도입됐다. 선정되면 5년간 최대 45억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학령인구 감소 및 인력난 등으로 지역소멸 현상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지역 내 정주 비율이 높은 특성화고 졸업생들을 육성해 지역을 발전시키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해 운영된다. 하지만 지난해와 올해 협약형 특성화고에 전남, 광주, 울산, 세종에 있는 학교는 단 한 차례도 선정되지 못했다.
23일 김문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2년 동안 선정된 학교 소재지는 인천이 3개교로 가장 많고 뒤를 이어 서울·대전·충남·전북·경북이 각각 2개교다. 김 의원은 “소멸위험 지역 1위인 전남이 협약형 특성화고에서 선정되지 못하면 지역소멸의 위험은 더 커진다”며 “사업 목적과 배경이 지역소멸 대응 및 지역인재 육성에 있는 만큼 선정시 지역 배분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순천 최종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