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금값 약 50% 급등, 온스당 4000달러 눈앞
중동발 ‘오일쇼크’였던 1979년 이후 최고가 경신
트럼프 관세정책, 인플레이션 우려, 금리 인하 기대감 때문
미 연방정부가 셧다운에 돌입한 지난 1일(현지시간) 금 선물 종가는 온스당 3897.5달러로 전장 대비 0.6% 오르며 종가 기준 최고치 기록을 세웠다. 사진은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에 진열된 금 제품 모습. 연합뉴스 |
금값이 천정부지를 모르고 치솟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정책 불확실성과 인플레이션 우려,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감 등으로 안전자산이 금으로 수요가 몰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주요국 중앙은행들까지 대거 금을 사들이면서 내년까지도 금값 강세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2일(현지시간)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금 선물 12월물은 전날 최고치에서 0.8% 내린 온스당 3868.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금 현물은 한국시간 기준 3일 오전 3시 15분 기준 온스당 3868.1달러로 0.8% 하락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인하에 신중해야 한다는 로리 로건 미국 댈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 발언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럼에도 금값 상승 랠리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는 시각엔 변함이 없다. 이미 중동발 ‘오일 쇼크’로 전 세계 인플레이션이 급등세였던 1979년 이후 최고가를 돌파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급락 장세는 물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더 가파른 상승세다.
이처럼 금값이 지붕을 뚫고도 열기가 식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얼마 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금값 상승 이유에 대해 “최근 상승은 부분적으로 백악관에 기인한다”고 못박았다.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업무 일시정지)은 안전자산인 금값 상승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 여기에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따른 경제 불확실성이 너도나도 안전자산에 뛰어들게 만들었다는 해석이 나온다. 미국의 관세 정책이 경기 침체 우려를 가져오고, 결국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금리가 인하되면 채권 가격이 올라가고, 상대적으로 금과 같은 안전자산에 대한 매력도가 올라간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독립성을 위협하고 있는 것도 금값 상승 랠리의 직접적 요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미 연준의 독립성이 위협당하면서 달러 가치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자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수요가 올라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달러 지위가 예전만 못하다는 판단 하에 중국 인민은행 등은 경쟁적으로 금을 사들이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가자 지구 사태 등으로 지정학적 불안이 지속되고 있는 점도 금값 상승 요인이 되고 있다.
황비웅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