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화학상 日·濠·美 무기화학자 수상
日, 생리의학상 이어 또 수상자 배출
캘리포니아大, 물리학상 싹쓸이에 화학상까지
탄소 포집, 수소 저장, 물 공급 등 다양한 활용
만능 다공성 물질로 알려진 ‘금속-유기 골격체’(MOF)를 개발한 공로로 올해 노벨 화학상을 받은 기타가와 스스무 일본 교토대 교수, 리처드 롭슨 호주 멜버른대 교수, 오마르 야기 미국 UC버클리 교수(왼쪽부터)노벨 재단 제공 |
2024년 노벨 화학상은 새로운 형태의 분자 구조를 연구·개발한 일본, 호주, 미국의 무기(無機) 화학자들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아카데미 노벨 위원회는 8일(현지시간) 올해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기타가와 스스무(74) 일본 교토대 교수, 리처드 롭슨(88) 호주 멜버른대 교수, 오마르 야기(60)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교수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노벨 위원회는 “이번 수상자들은 기체와 기타 화학 물질이 드나들 수 있는 넓은 공간을 지닌 분자 구조물인 ‘금속-유기 골격체’(MOF)를 만들었다”며 “이들이 만든 MOF는 사막의 공기에서 물을 얻고,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고, 독성 가스를 잡아내고 화학 반응을 촉진하는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며 수상 업적을 설명했다.
지난해 노벨 화학상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응용 분야에 돌아가면서 파격적이라는 평가를 받았지만, 위원회는 다시 정통 기초 연구에 수상의 영광을 돌렸다.
또, 일본은 지난 6일 발표된 생리·의학상에 이어 화학상에서도 수상자를 배출해 아시아 지역 기초과학 강국의 면모를 과시했다. 한 해 두 명의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배출한 것은 2015년 이후 10년 만이다. 당시에도 생리의학상 부분에 오무라 사토시, 물리학상에 가지타 다카아키 2명이 수상했다.
이와 함께 올해 노벨 물리학상을 미국 캘리포니아대 연구자들이 싹쓸이한 것에 이어 화학상에서도 수상자를 또 배출해 눈길을 끌고 있다.
이들이 만든 MOF는 금속 이온이 모서리에 위치하고 탄소 기반 유기 분자들이 이를 서로 연결하는 구조다. 금속 이온과 유기 분자가 결합한 구조는 내부에 큰 공간을 가진 MOF 결정을 형성한다. MOF를 이루는 구성 성분을 바꾸면 특정 물질을 선택적으로 포집, 저장할 수 있으며, 화학 반응을 구동하거나 전기를 통하게 할 수도 있다.
노벨 위원회는 “이번 수상자들의 획기적 발견 이후 화학자들은 수만 종에 달하는 다양한 MOF를 합성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인류가 직면한 중대한 과제 해결에 이바지할 잠재력이 있다”며 “자연 분해되지 않는 물질인 과불화화합물(PFAS)을 물에서 분리하고, 물이나 토양에 녹아 있는 미량의 화학 물질을 분해하는 한편 이산화탄소 포집, 사막에서 물 공급, 수소에너지 저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번 노벨 화학상 수상자들은 1100만 스웨덴크로나(16억 5440만 원)를 3분의1씩 나눠 갖는다. 노벨 재단은 화학상을 끝으로 노벨 과학상 수상자 발표를 마무리하고, 9일 문학상, 10일 평화상, 13일은 알프레트 노벨을 기념하는 스웨덴 국립은행 경제학상(노벨 경제학상) 수상자를 발표한다.
유용하 과학전문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