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부터 내년 1월 말까지 논 말리기와 월동 실태조사 추진
전남도가 겨울철 왕우렁이가 죽지 않고 월동해 어린모를 갉아먹는 피해를 예방하는 왕우렁이 월동 피해 막기 위해 겨울철 논 말리기와 월동 실태조사 등 왕우렁이 예방 대책을 추진한다.
이번 예방 대책은 왕우렁이가 겨울철 논에 물이 없거나 영하 이하의 낮은 기온에 외부로 노출되면 죽는 특성을 이용해 논에 월동작물을 재배하거나 전년보다 한 달 앞당겨 논 깊이갈이 등 100% 논 말리기를 통해 개체수를 줄이는 것에 중점을 둔다.
오는 12월부터 2026년 1월 말까지 추진되는 예방 대책 대상 지역은 해남과 영암, 진도 등 전남 서남부 10개 시군이다.
논 깊이갈이 대상은 1만 5943ha로 왕우렁이 피해 발생지인 인근 들녘의 저습지 답과 간척지 등이다.
전남도와 시군은 중점 관리 대상 단지·지구별로 읍면별 담당자 지정과 단지별 논 깊이갈이 공동 작업단을 구성하고 겨울철 농한기를 이용해 ‘논 깊이갈이 앞당겨 실천하기’ 캠페인과 마을별 순회 교육도 벌인다.
김영석 전남도 친환경농업과장은 “왕우렁이 월동 피해 예방은 겨울철 월동작물 재배와 논 깊이갈이를 통한 논 말리기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며 “간척지와 저지대 농경지에서 벼를 재배하는 농가는 왕우렁이 피해와 병해충 예방을 위해 논 깊이갈이를 앞당겨 실천할 것”을 당부했다.
무안 류지홍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