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의약품 생산 거점 구축”
2034년 완공,4000명 고용 전망
이번 부지는 송도 첨단산업클러스터 내 위치한 산업용지로, 지난 6월 공급 공모에 단독 참여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뒤 세부 협상을 마무리했다.
| 유정복 인천시장이 28일 시청 접견실에서 열린 삼성바이오로직스 제3캠퍼스 투자계약 체결식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 다섯 번째부터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 유정복 인천시장, 윤원석 인천경제자유구역청장. [인천시 제공] |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기존 1·2캠퍼스에 이어 3캠퍼스를 새로 조성해 ‘혁신 의약품 바이오 빌리지’를 구축할 계획이다. 제3캠퍼스에는 제조시설 4개 동을 세워 유전자·세포 치료제, 항체 백신 등 차세대 의약품의 개발과 제조, 상업화를 한곳에서 수행하는 체계를 마련한다. 총사업비는 7조원으로, 2034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천경제청은 제3캠퍼스 조성을 통해 신규 고용 4000명 이상이 창출될 것으로 예상했다. 협력사 채용 규모는 1000명, 건설 인력은 5000명 수준으로 전망했다.
2011년 설립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항체의약품 생산능력 78만L로 세계 1위 규모를 보유하고 있다. 제1캠퍼스(27만 4000㎡)에서는 1~4공장을 운영하며 총 60만 4000L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다. 제2캠퍼스(35만 7000㎡)에는 5~8공장 건립이 진행 중이며, 완공된 5공장(18만L)에 이어 6공장 증설도 검토되고 있다.
한상봉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