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와 한의사도 평소 우호적인 관계는 아니다.오히려 ‘라이벌’에 가깝다.하지만 약사와 관련된 사안이 나오면 미리 입을 맞춘 듯 ‘행동통일’이 된다.결국 ‘적의 적은 동지’가 아니냐는 해석까지 나온다.
두 단체는 약대 연장 방안에 대해서도 이런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지금처럼 4년제로 유지해야 한다고 같은 목소리를 내고 있다.6년제로 바꿔봐야 돈만 많이 들고 실익이 없다고 주장한다.
이런 내용의 공동성명서를 이미 지난 14일 청와대와 보건복지부 등에 돌렸다.
현행 교육제도에 맞지도 않고,건강보험 재정에도 압박을 줄 것이라는 설명도 덧붙였다.두 단체는 특히 “약대 6년제 추진은 약사의 업무변경을 위한 사전 포석”이라고 의심하고 있다.
약사들이 조제에 그치지 않고,사실상 가벼운 환자를 직접 진료하겠다는 시도라는 것이다.이를 위해 교육기간을 2년 연장해 전문성을 갖춘 약사를 더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의사협회 관계자는 “국민 건강에도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약사들의 이런 시도는 엄연한 월권”이라고 지적했다.
한의사협회도 같은 입장이지만 이유는 다소 다르다.약대 교육과정에 한방과목이 포함되어 있는 실정에서 교육기간을 2년 연장하면 한약조제권이 심각한 위협을 받을 것이라고 우려한다.또 한약사의 기능이 약사와 명백히 구분되지 않은 상황에서 약대 학제를 연장하는 건 잘못됐다는 지적이다.
약사측은 이에 대해 대꾸할 가치조차 없다고 말한다.국제적인 추세에 뒤지지 않기 위해서라도 약대의 6년제 전환은 ‘대세’라고 반박한다.대부분의 선진국은 물론 일본도 최근 약대 6년제 전환을 결정했다는 점을 근거로 제시한다.
대한약사협회 관계자는 “제대로 알지도 못하면서 서로의 영역에 대해 왈가왈부하는 것은 지극히 위험한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김성수기자 sski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