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지지구 조성사업 등 개발사업은 지구내 주민들의 보상가에 대한 불만이 주 원인이며,하수처리장이나 공단조성 등 공공사업도 표면적으론 환경피해 등에 대한 우려를 꼽고있지만 근본적으로는 재산권 행사 제약에 대한 불만이 크다.
고양 덕이지구 개발반대 주민(대표 정태임) 100여명은 덕이지구 도시개발사업조합측이 개발에 동의하지 않은 주민의 토지나 가구판매점 등도 개발사업지구로 편입시켰다며 지난 12일 고양시청 정문앞에서 대낮에 확성기를 동원해 유행가를 부르는 등 시위·농성을 벌였다.
최근 79만평의 택지개발 추진이 발표된 의정부 민락2지구 토지주들도 지난주 경기도 제2청사에 몰려와 택지개발 반대시위를 벌였다.
지난달 말 130여만평의 개발계획이 발표된 양주 옥정택지지구에선 지구내 편입토지주들이 시가에 못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보상가에 반발,추가 보상금을 노리고 주택이나 창고·공장 등을 건축하기 위한 개발계획 승인을 앞다퉈 신청하고 있다.
또 문산에 들어설 파주 LCD 협력단지인 당동·선유지구 20만평의 토지주들도 협력단지 입주를 대기·식수수질과 하천 등 환경오염 우려를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양주 남방하수처리장 건설저지대책위원회(위원장 윤광)도 최근 스포츠센터와 어린이 집 건립,가구당 1000만원의 현금보상과 함께 그동안의 반대집회 비용 5000만원 보상 등을 요구하며 시장주재 간부회의장에 들어가 계란·밀가루 등을 투척하고 기물을 파손하는 등 격렬하게 반발했다.
양주 한만교기자 mghan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