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 대형 프로젝트 유치가 잇따라 물거품이 되고 있다. 시는 제2정부통합전산센터와 외국계 대규모 자동차 부품업체, 지역암센터 등의 지역유치에 나섰으나 모두 실패했다.
정보통신부는 최근 제2정부통합전산센터 신축 후보지로 광주시를 선정, 뒤늦게 유치전에 뛰어들었던 대구시는 고배를 마셨다.2007년 하반기부터 운영에 들어갈 제2정부통합전산센터는 법무부, 건교부, 국세청 등 23개 국가기관의 전산시스템이 들어서게 된다.
이에 앞서 시는 대형 자동자 부품업체인 캐나다 리나마사의 아시아 생산공장 유치에 나섰으나 이마저 군산시에 빼앗기고 말았다. 리나마사는 올해 3500만달러를 비롯해 향후 8년 동안 모두 1억달러를 투자, 국내에 공장을 설립키로 하고 대구와 전북 군산 등 2곳의 후보지를 놓고 저울질을 해 왔다.
또 대구시와 대구경북병원협의회가 추진해왔던 ‘지역암센터’유치도 수포로 돌아갔다. 대구 경북대병원, 부산 부산대병원, 대전 충남대병원 등 3곳이 경합을 벌였으나 부산대병원과 충남대병원이 선정되고 경북대병원은 탈락했다.
이처럼 대형 프로젝트의 대구 유치가 잇따라 실패하자 대구시의 무능력을 질타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김충환 대구시 의원은 “광주시의 경우 2003년에 정보를 입수, 유치전략을 펼쳤지만 대구시는 지난해 말 정보를 입수, 부랴부랴 전담반을 만드는 등 출발부터 한계를 드러냈다.”고 지적했다.
대구 황경근기자 kkhw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