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25일 “일제 강점기 도시계획으로 주변이 훼손돼 도로 한가운데 섬처럼 고립돼 있던 숭례문의 주변 차도를 녹색광장으로 조성,27일 오후 2시 개장 행사를 갖는다.”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숭례문이 언제부터 고립됐는지 정확한 기록이 없지만 1907년 일본 왕세자(훗날 다이쇼 일왕)가 서울에 왔을 때 ‘대일본 왕세자가 머리를 숙이고 문루 아래를 지날 수 없다.’며 숭례문과 연결된 성곽을 헐고 도로와 전찻길을 냈다는 기록으로 미뤄 이 때부터 사실상 출입이 제한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때를 기준으로 삼으면 숭례문이 시민들과 가까이 하는 것은 98년 만이다.
숭례문광장은 8200㎡(2480평) 규모로 주변 남대문시장, 북창동, 염천교 등으로 이어지는 횡단보도 5개와 교통섬 5개가 조성돼 있다.
시는 “지난해 5월 서울광장 조성과 지난달 광화문 네거리 횡단보도 조성에 이어 이번에 숭례문광장이 일반에 개방됨에 따라 서울시의 중심가로인 광화문∼서울광장∼숭례문∼서울역에 이르는 보행벨트가 형성됐다.”면서 “숭례문광장이 시민들의 문화·역사·휴식 공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시는 숭례문의 원형 보존과 시민 안전을 위해 숭례문의 일정 구역 안으로는 출입을 제한한다.
또 이달 말까지 숭례문에 대해 정밀 실측조사를 실시해 보수계획을 수립한 뒤 내년 1년동안 유지·보수 공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김유영기자 carilip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