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이 일정지역에 모여 네트워크를 구축한 뒤 기술·인력, 지식정보의 교류를 통해 상승효과를 얻는 것을 말한다. 혁신클러스터 구축은 세계적인
추세다. 미국의 경우 1970년대 들어 캘리포니아 사막지대에 스탠퍼드대학을 중심을 한 실리콘 밸리를 형성, 세계 최대 규모의 정보기술(IT)산업
집적지를 만들었다.
지난 1972년 5월 낙동강 일대에 조성된 구미제1국가산업단지. 지금까지 1,2,3단지가 조성됐으며 오는 2006년 완공을 목표로 공사가 한창인 4단지는 규모가 2421만여㎡에 이른다. 구미시청 제공 |
있다. 이밖에 프랑스의 소피아앙티폴리스, 스웨덴의 시스타, 핀란드의 울루, 타이완의 신주(新竹) 등의 도시들도 연구개발 자원을 한 지역에 모아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는 클러스터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구미도 혁신클러스터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LCD,PDP, 휴대전화 등 세계 일류 상품을 18개나 생산하는 세계적인 IT산업단지이지만 연구개발기능이 전무하다는 것.
따라서 지난해 창원 등 6개 지역과 함께 혁신클러스터 시범단지로 지정된 데 이어 지난 4월27일에는 ‘구미국가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가 출범했다. 또 지난 24일에는 한국산업단지공단 중부지역본부에서 구미혁신클러스터 성공전략에 대한 설명회가 있었다. 아직
초기단계이지만 구미는 다른 지역보다 한발 앞서 있다.
●“연간 생산액 80조원 목표”
곽인태 구미시 혁신클러스터 팀장은 “정부가 혁신클러스터 시범단지로 지정하기 이전부터 연구개발기능의 필요성을 깨닫고 투자해왔다.”고
말했다.
지난 2003년 구미공단 내에 구미전자기술연구소를 개설했다. 이 곳은 전자·정보관련 부품소재의 연구·개발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
8명의 연구원이 있으나 앞으로 50명으로 늘어나고 200억원을 들여 첨단 연구기자재도 갖춘다.
또 구미4국가산업단지내에 구미디지털전자정보기술단지를 조성하고 있다.7만 9000여㎡ 부지에 건평 2만여㎡로 건립된다.2002년
착공했으며 올 하반기 완공된다. 이 곳에는 실험실, 장비실, 연구실, 산학관 협력센터, 신기술창업보육센터, 성장보육 벤처중소기업 등이 들어선다.
박상우 구미시 투자통상 과장은 “구미디지털전자정보산업단지가 조성되면 연구소, 대학 등 연구개발기능이 크게 보완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으로 추진될 구미 혁신클러스터사업은 크게 5개 분야로 나눠진다.▲산·학·연·관 네트워크 구성 ▲생산기반 기술혁신센터 설립 ▲첨단
전자기기 집적센터 설립 ▲차세대 성장동력 핵심기술개발 지원 ▲혁신클러스터 지원센터 조성 등이다.
●옛 금오공대 부지 활용 걸림돌
또 10개 미니클러스터를 구성한다. 디스플레이, 홈플러그, 홈네트워크, 소재·부품조립, 대체에너지, 금형·산업디자인, 자동화설비
반도체업종 중심의 메카트로닉스, 전자·정보부품과 전자제품 등 시스템 관련 업체 중심의 모바일 등이다. 미니클러스터에는 분야별 핵심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한다. 구미시는 미니클러스터의 운영을 활성화해 나갈 계획이다.
혁신클러스터사업에는 2008년까지 모두 1279억원이 들어간다.
이 사업이 차질없이 추진되면 구미시의 연간 생산액은 지난해 말 47조원에서 80조원으로, 수출은 지난해 말 273억달러에서
500억달러로, 일자리는 3만명이 늘어난 10만명에 이를 것으로 기대된다.
곽 혁신클러스터 팀장은 “구미의 혁신클러스터화는 연구개발과 생산이 융합된 명실상부한 IT산업의 최대 집적지가 될 것임이
틀림없다.”며 성공을 확신했다.
그러나 성공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있다. 옛 금오공대 부지를 활용하는 문제다. 공단과 맞닿아 있고 경부 고속도로 구미IC
초입에 자리했던 금오공대가 이전해 감에 따라 구미시는 기존 부지를 ‘혁신클러스터 핵심센터’로 탈바꿈시키기로 결론을 내리고 사업 추진에 나섰다.
그러나 옛 금오공대 부지의 관리권자인 교육인적자원부는 특별회계 재산으로 잡혀 있는 이 학교 부지를 공개 매각해 캠퍼스 이전비용으로
충당한다는 방침이다.
금오공대 신평 캠퍼스의 매각금액은 1000억원대로 추정되며 구미시가 자체적으로 부지를 매입할 여력은 없는 상태다.
이에 따라 ‘금오공대 옛 부지활용 범시민 대책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구미 시민들이 들고 일어났다. 건설업체들이 눈독을 들이고 있는
이 부지를 공개매각할 경우 대규모 아파트가 들어서 혁신클러스터 사업은커녕 구미시의 관문을 망치게 할 것으로 시민들은 보고 있다.
박 과장은 “혁신클러스터의 성공을 위해서는 반드시 옛 금오공대 부지에 핵심지원시설이 들어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구미 한찬규기자 cghan@seoul.co.kr
2005-06-3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