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밀양·대구·영천·거창·포항·산청’
|
지난해 여름 연일 국내 최고 기온 기록을 독식하면서 ‘찜통 대표지역’으로 떠올랐던 밀양에서는 기상관측소 주변 여건이 기온측정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논란이 벌어지기도 했다. 기록을 놓고 볼 때 특정 지역을 최고 혹서지역이라고 단정짓기는 어렵다. 밀양은 지난해 여름만 놓고 보면 최고 더웠던 지역임이 틀림없지만 올해는 그렇지 않다.
●올여름은 합천이 최고 찜통
올여름 들어 최고 기온 기록은 포항으로 지난 6월25일 37.7도였다. 이례적으로 6월 기온이 여름 최고 기온을 기록했다.
그러나 올해 6·7·8월 3개월 동안 기온이 35도가 넘은 날을 보면 합천이 12일로 가장 많다. 다음으로 포항·밀양 각 7일, 대구·영천 각 6일, 산청 4일, 거창 3일 등의 순서다.6∼7월 월 평균기온도 합천이 제일 높고 다음으로 대구, 영천, 밀양 순이다.
기온이 35도가 넘은 날 가운데 그날 기온이 전국 최고를 기록한 날도 합천이 5일로 가장 많고 이어 포항 4일, 춘천 2일, 밀양·영천·대구·거창·산청·동해 각 1번씩이다.
●지난해 여름 더위는 밀양이 최고
지난해 여름의 경우 최고 기온은 7월30일 밀양 38.5도였다. 밀양은 지난해 35도가 넘은 날도 19일로 가장 많았으며 이 가운데 전국 최고 기온 기록도 제일 많은 12번을 차지했다.6·7·8월 월 평균기온도 가장 높았다. 지난해 여름 합천이 전국최고 기온을 기록했던 날은 8월10일 35.7도 한번에 그쳤다.
●최고 기온은 기압골 배치가 좌우
부산지방기상청 이성영 예보사는 “올여름에는 무더운 북태평양 고기압이 예년보다 빨리 한반도로 확장해 6월부터 무더위가 시작됐다.”며 그러나 올여름 전국 평균 기온은 지난해보다 1∼2도 낮아 예년보다 무더운 편은 아니라고 덧붙였다.
이 예보사는 “산맥동쪽이나 내륙 분지 지역은 지형상 여름 더위가 강한 것이 공통현상으로, 최고 기온은 기압골 어디에 배치되느냐에 따라 좌우된다” 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올여름은 합천이 열기통로로 기압골이 배치돼 고온현상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울산 강원식기자 kw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