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부총리는 현장경영을 중시하는 참여정부의 ‘코드’에다 부지런함까지 더해져 연일 강행군이다. 일각에선 이제 세부적인 일은 실무자에게 맡기고 경제 부총리가 나서야만 되는 일에 전념할 것을 충고한다. 타이밍이 중요한 투자를 위해 올해 안에는 수도권의 규제완화를 이끌어내야 한다는 지적도 많다.
한 부총리 취임 이후 경제성적표는 고무적이다. 종합주가지수는 취임 전날인 3월14일 856.86이었으나 12일에는 1158.36을 기록했다. 지난주부터 연일 최고치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경제 회복 기조가 아직 가시화되지 않은 게 부담이다.
재경부의 한 국장은 “한 부총리가 시장의 신뢰를 얻었다.”고 평가했다. 이에 대해 경제전문가들은 “주식시장이 좋아짐에 따른 반사효과”라고 지적했다. 김광두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는 “투자와 내수, 고용은 여전히 답보상태”라며 “균형발전이라는 참여정부의 목표 때문에 막혀 있는 수도권의 규제를 풀어야 할 사람은 경제 부총리”라고 말했다.
한 부총리가 재경부 내부의 벽을 많이 허물었다는 게 재경부 직원들의 대체적인 평가다. 지난 5월초부터 매주 월요일 아침에 열리는 확대간부회의는 인터넷을 통해 직원들에게 생중계되고 있다. 물론 한 부총리가 생중계를 결정했다. 시청률은 80%나 된다.
재경부 사무관들은 “생중계 방송을 보면서 내가 재경부 사람이라는 소속감이 더 강해졌다.”고 밝혔다. 한 과장은 “일이 많아서 내가 챙기지 못한 것에 대해 담당 직원들이 업무의 진척사항을 알려온다.”며 “간부회의가 공개되면서 부담도 있지만 업무 시간이 대폭 줄었다.”고 평가했다.
한 부총리가 지쳐 보인다는 지적도 많다. 한 국장은 “경제 부총리는 6개월 지나면 체력이 많이 떨어지는 모양”이라고 지적했다. 그만큼 경제수장이 챙길 일이 많다는 얘기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2005-09-13 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