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에 있어 문화의 중요성은 더 이상 강조할 필요가 없다.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원천이기 때문이다. 굴뚝산업 대신 우리 사회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각광받고 있는 분야이기도 하다. 지난달 29일 전국문화원연합회로부터 문화인상을 받은 김우중 동작구청장이 돋보이는 이유다.
김 구청장은 지역문화 발전에 기여하면서 동작문화원이 전국문화원 평가대회에서 2회에 걸쳐 대상을 수상했다.
동작문화원이 개장한 것은 지난 1998년 12월. 이후 주민 문화프로그램 교육은 물론 전통문화의 계승 발전, 각종 문화예술 공연 개최, 문화 유적지 답사, 우수영화 상영, 구 위탁사업 추진 등 지역문화 발전의 첨병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성과는 곧바로 나타났다. 동작문화원은 2000년 문광부로부터 전국 최우수 문화원상을 수상했다. 지난해에는 전국문화원연합회가 주관하는 지방문화원 관리운영평가에서 전국 최고인 대상 문화원으로 선정됐다.
연 평균 수강생이 5000여명에 달할 정도로 지역의 호응도 높다. 김 구청장은 “문화원 문학반을 통해 신춘문예 당선 등 문단에 진출한 주민만 20명이 넘을 정도”라고 흐뭇해했다.
김 구청장은 원래 외국 원서를 주로 출간하던 전문 경영인 출신이다. 그만큼 문화에 대한 애정이 각별하다.
김 구청장은 “문화를 아끼고 즐기면 자연스레 주민들의 의식 수준과 삶의 질이 향상된다.”면서 “문화원이 설립되고 활성화되면서 동작이 더욱 살기 좋은 지역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에는 노인복지와 문화도 결합시켰다. 동작실버센터에서는 노인들의 치매 예방을 위해 음악, 미술, 꽃꽂이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노인복지의 수준을 한 차원 끌어올렸다. 김 구청장 스스로가 99세의 노모를 모시고 있는 ‘효자’인 까닭이다.
앞으로의 계획은 주민들에게 찾아가는 문화원으로 발전시키는 것이다. 동작문화원의 분원격인 사당문화원의 프로그램을 점차 다양화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