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까지 전남·북도에는 각계에서 십시일반으로 정성을 보탠 3억 5000만원과 10억 7000만원이 답지했다.KT&G(옛 한국담배인삼공사)가 1억원씩 나눠 전남·북에 보냈고 강원·경북·대구·부산·울산 등 5개 시·도에서 500만∼2000만원을 모금해 두 지역에 전달했다. 광주시에도 울산시의회가 1000만원을 보탰다.
특히 이번 폭설로 영·호남의 지역갈등이 눈 녹듯 녹아 내렸다.
경북 상주시 공무원들이 이 날 자매도시인 전북 고창군 일대에서 무너진 비닐하우스와 축사를 철거하고 직원들이 모은 성금 200만원을 전달하고 위로했다.
경북도 종합자원봉사센터 직원과 자원봉사자들도 이 날부터 1박 2일로 고창군 성내면 월성리 일대에서 복구작업에 들어갔다.
또 한나라당 대구시당과 경남·북도당 당직자들도 이 날 전남 함평군 신광면 등에서 비닐하우스와 축사의 잔해물을 정리했다.
앞서 27일에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대구지역본부 직원들이 전북 정읍시 북면 남산리 일대에서 복구활동을 벌였고 25일에는 박팔용 김천시장이 자매도시인 전북 군산시를 찾아가 2000만원 상당의 쌀과 라면을 전했다.
지난 9일 전북도종합자원봉사센터 직원들은 답례로 손수 담근 김장김치 1500포기를 경북도에 불우이웃 돕기용으로 건넸고 지난 8월 초에는 경북지역 자원봉사자들이 수해를 당한 전북 장수군과 무주군 일대에서 복구활동을 펴기도 했다.
또한 코미디언 조정현씨가 이끄는 ‘조정현 탑웨딩홀 축구단’도 지난 27일 전남 나주시 산포면 등정리 폭설피해 농가에서 비닐하우스를 철거했다.28일까지 잠정집계된 폭설 피해액은 전남도 2364억원, 전북도 1391억원, 광주 275억원 등 4030억원이다.
무안 남기창기자 kcna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