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공간 없어… 테마파크에 보관
군위, 2017년 230개 판각 복원 완공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가 추진 중인 삼국유사 복원 목판이 10년 가까이 수장고에서 낮잠 자고 있다.
4일 ‘삼국유사의 고장’ 대구 군위군에 따르면 2015년에 삼국유사 목판 복원사업을 시작해 2017년 2월까지 조선 초기본 판각 114개판과 조선 중기본 판각 116개판을 완공했다. 총 25억 8000여만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이로써 인쇄본만 전해 내려오는 ‘삼국유사’가 500여년 만에 목판으로 되살아났다. 이 사업은 당시 군위군이 속했던 경북도가 경상도 개도 700년과 신도청 시대 개막을 기념하기 위해 전국 지자체 중 처음으로 목판 복각 사업을 추진한 것이다.
완공된 판각은 목판 전용 수장고로 건립된 안동 국학진흥원 장판각에 3년여 동안 보관됐다가 2020년 7월 군위군문화관광재단이 운영하는 삼국유사테마파크 개장에 맞춰 이곳으로 이관됐다.
하지만 이 판각이 8년이 넘도록 일반인 관람이 불가능한 수장고에 보관되면서 일회성 전시 행정 사업이라는 비판과 함께 예산 낭비 지적이 나온다. 윤모(66·시인·대구 수성구)씨는 “지난달 찾은 삼국유사테마파크에서 세계 유일을 자랑하는 삼국유사 목판을 구경하려 했으나 불가능했다”면서 “한때 역사적 사업이라며 요란스럽게 추진했던 사업의 흔적조차 찾아볼 수 없어 크게 실망했다”고 했다.
최은주 한국국학진흥원 국학기반본부장은 “삼국유사의 문화·관광 상품화와 자원화를 적극 추진 중인 군위군으로서는 마땅히 목판을 전시 공개해야 한다”면서 “목판 전시 공간을 마련해 주기적으로 돌아가며 전시하면 보관·관리에 문제 될 게 없다”고 말했다.
보각국사 일연(1206~1289) 스님이 삼국유사를 저술한 곳인 군위군은 2022년 삼국유사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 지역 목록에 등재한 데 이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목록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대구 김상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