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엔 수도(水道)가 고장났을 때 신고하는 전화번호가 따로 있었습니다. 어르신들은 ‘수도안내소’라고 써 붙인 커다란 간판에 ‘수도 고장은 117번으로’라고 쓴 안내문을 기억하실 겁니다.
지금은 없어졌지만 전에는 ‘상수도 시공업자 제도’라는 게 있었습니다.1950년대 초반만 해도 서울시에서 ‘수도 기술 자격검정’을 실시했었고요. 이 시험에 합격한 사람만 ‘상수도 시공 영업’을 허가해줬던 거죠. 그 당시만 해도 이 자격증 하나만 따면, 먹고사는 데 걱정이 없었던 겁니다.
지금은 집집마다 수돗물이 안 나와서 걱정하는 그런 집들이 거의 없지만 불과 30년 전만 해도, 수압이 낮은 지역이나 배수지에서 멀리 떨어진 달동네에선 수압이 낮아 밤새도록 찔끔찔끔 나오는 수돗물을 받느라 잠을 설치는 일들이 적지 않았거든요. 요즘은 수돗물이 워낙 흔하다 보니, 수돗물을 물 쓰듯 쓰고 있잖아요. 한강물도 바닥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들 정도입니다.
그리고 예전엔 ‘내가 이렇게 보여도 수돗물 먹고 사는 사람이야.’라는 말이 있을 정도였죠.‘나는 서울에 사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말이죠. 수돗물을 마시는 사람은 곧 서울사람이었거든요.
서울시에서는 현재도 서울의 수돗물 ‘아리수’를 더 고급화시키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이 ‘아리수’라는 것은 ‘광개토대왕비’에 기록된 고구려 시대 한강을 뜻하는 말이라고 하잖아요. 지금은 ‘깨끗하고 안전한 서울 수돗물’의 브랜드가 된 겁니다.
우리 서울에서 이 수도라는 것이 처음으로 선을 보인 것은 1905년 덕수궁이었습니다. 서울에 1908년 ‘뚝섬수원지’가 문을 열기 3년 전입니다.‘권동수’라는 사람이 덕수궁에 수도를 놓았던 거죠.1905년 3월8일자 ‘황성신문’에 나옵니다.“경운궁, 다시 말해서 덕수궁안에 권동수라는 자가 수도를 가설하였느니라.”
물론 그 당시 덕수궁의 수돗물은 임금님이 마시는 수돗물이었고,1908년에 세워진 뚝섬수원지 물은 일반인들이 먹는 수돗물이었다지만 어쨌거나 우리 서울의 수돗물 역사는 1905년부터 시작했습니다. 당시에는 덕수궁에서 임금님이나 마실 수 있는 특별한 물이었던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