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행자부는 전국에서 내로라하는 ‘국보급 장인’ 33인 등으로 국새제작단을 구성, 지난 4월부터 국새 제작에 돌입했다. 가로·세로 각 99㎜의 새 국새는 여론조사와 공모를 거쳐 ▲인문(글씨체)-훈민정음체 ▲인뉴(손잡이)-봉황 모양 ▲제작방법-진흙거푸집을 사용한 전통방식 ▲재질-금 합금 등을 결정했다.
이 외에도 의장품 중 국새를 보관할 내함은 백동으로, 외함(인궤)은 철갑상어 가죽으로 제작된다. 함을 넣어둘 함장은 금색이 가미된 옻칠로 단장된다. 국새를 올려놓을 방석인 석은 한지 수백장을 다진 뒤 비단으로 싸였다. 국새를 올려놓는 상인 인상·배안상·소배안상, 상 위에 까는 비단천인 복건, 장식용 끈인 매듭인끈·다회끈 등도 최고 전문가들의 손을 거쳐 전통 방식으로 제작 중이다. 행자부 관계자는 “국새의 마무리 작업이 끝나면 비파괴검사 등을 통해 검증한 뒤 이달부터 사용할 계획”이라면서 “새 국새는 정부중앙청사 19층 국무회의실 옆 국새실에 보관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