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우선 서울시농업기술센터 안에 ‘귀농지원센터’를 설치하기로 했다. 센터에서는 귀농 준비부터 정착에 이르는 모든 단계별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부가 귀농자에게 창업·주택자금 등의 명목으로 2억원의 융자를 지원하고 있지만, 금전적인 부분 외에 다른 준비를 소홀히 한 채 귀농했다가 실패하는 사례가 적지 않은 만큼 이들이 다시 도시로 ‘U턴’하는 현상을 차단하기 위해서다.
또 기존 공급자 중심의 귀농교육을 수요자 맞춤형으로 전환하고, 정착 단계별·분야별 다양한 실습과 현장교육을 실시키로 했다.
아울러 전원생활을 희망하는 시민을 위한 ‘전원생활교육’, 도시민의 영농체험을 통해 농촌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그린투어’, 시민들의 건전한 여가생활을 위한 ‘하이서울친환경농장’ 등 다양한 체험프로그램도 운영된다.
이종범 시 생활경제담당관은 “조기 퇴직이나 은퇴 등으로 농촌에서 새로운 직업을 찾는 시민들이 늘고 있다.”면서 “체계적·종합적 지원을 통해 안정적인 귀농 정착을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귀농 가구 수는 2003년 885가구에서 2005년 1240가구, 2007년 2384가구, 2008년 2218가구, 지난해 4080가구 등으로 5년 새 5배가량 증가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10-05-14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