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인호 신임 산림청장 인터뷰
산불 원인 원천봉쇄 우선 과제정량적 목표보다 품질 고도화
김인호 산림청장은 18일 “산림 경영을 둘러싼 ‘소모적’ 논쟁을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청장은 이날 취임 후 가진 출입기자단과 간담회에서 그동안 경험하지 못한 산불과 산사태 피해가 발생한 후 임도와 벌채 등 산림 경영 방식에 대한 논란과 관련해 과학적이지 못한 추론과 외국 사례에 기반한 논쟁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환경단체와 산주 등의 주장이 맞는 것도 있고 틀린 것도 있다”며 “맞고 틀림의 문제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산림 경영 경험이 적다 보니 시장이 형성돼 있지 않은 상황에서 몇 안 되는 기업이나 업체가 독점 또는 일종의 카르텔처럼 보이는 우려가 있는 것도 사실이라고 했다.
산불 대책으로 ‘원인 제거’를 제시했다. 김 청장은 “산불은 건조한 환경에서 발생하고 바람 등 날씨 영향을 받아 확산하기에 진화가 어렵고 피해가 커진다”며 “농업 부산물 사전 소각 등 발화할 수 있는 원인을 원천 봉쇄하는 게 산불 대책의 최우선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김 청장은 “산불 원인 중 자연발화는 극히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며 “농촌진흥청과 협력해 농작물·부산물을 미리 거둬가 파쇄·소각하고 고령층 농업인을 대상으로 교육·캠페인을 벌이는 등 산불 예방 활동에 적극 예산을 투입하겠다”고 했다.
산림이 고령화 시대 기회 요인이라며 ‘1 도시 1 수목원’을 제시했다. 김 청장은 “숲이 건강과 치유, 교육, 일자리를 만들어낼 수 있고 굴뚝 없는 산업인 정원은 선진국형 한국의 모습”이라며 “산림 정책이 그동안 임도를 얼마나 내야 한다는 정량적 목표에서 탈피해 품질을 높이는 고도화로 전환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전 박승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