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이어… “책임 회피” 비난
서울시가 지난 27일에 발생한 집중호우를 서둘러 ‘100년 만의 물폭탄’이라고 발표하자 “책임 회피”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대규모 인명 피해와 도심 기능 마비의 원인으로 부실한 수해대책 등 ‘인재’(人災)가 꼽히고 있는데도 이를 천재(天災)로 가리려는 의도가 적잖게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27일 강남과 광화문 일대가 물에 잠기자 ‘100년 만의 폭우’라는 보도자료를 냈다. 서울시는 시간당 113㎜의 폭우가 내린 것이 100년 만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서울의 시간당 강수 기록을 살펴보면 1937년에 146㎜, 1942년에 118.6㎜, 1964년에 116㎜의 폭우가 쏟아졌다. 이미 113㎜를 넘어선 적이 있는 것이다.
1일 강수량 기록을 기준으로 해도 서울시의 발표는 무리가 있다. 27일 하루 동안 서울에 301.5㎜의 비가 내려 7월 하루 강수량 기록을 경신했다. 하지만 이는 밤 12시에 가까워졌을 때다. 이전 기록은 1987년의 294.6㎜다. 서울시가 ‘100년 만의 폭우’라고 발표한 시점은 이날 오전 8시로 강수량이 200㎜를 겨우 넘었던 때다. 결국 16시간 이후에 깨질 하루 최고 강수량을 서울시가 미리 발표한 셈이다.
서울환경운동연합은 “서울시는 대규모 시설 몇 개 설치하는 것으로 대책을 마련했다고 큰소리를 쳤다.”면서 “서울시가 100년 만의 폭우라고 떠드는 것은 책임을 피하기 위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시는 지난해 9월 광화문 광장에 물난리가 나자 ‘서울시 중장기 수방 대책’을 내놨다. 그러나 정작 최근에 자주 발생하고 있는 게릴라성 호우에 대한 대책은 제대로 수립되지 않았다.
김동현기자 moses@seoul.co.kr
2011-07-29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