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까지 생각했는데… 희망 되찾아”
“자식과의 갈등 때문에 자살까지 생각했는데 노인상담사와 상담을 하고 나서 생각이 바뀌었소. 자식들에게도 마음을 여니 가족 관계도 좋아졌다오.” 영등포구 신길동에 거주하는 박모(84) 할아버지는 지난 7월 영등포구 노인상담센터에 전화를 걸어 상담을 요청했다. 할아버지는 “자식들이 나를 거들떠보지도 않아 죽고 싶다.”며 고민을 털어놨다. 노인상담사가 집으로 찾아가 이야기를 들어보니 할아버지는 허리 통증 등 노환으로 불편한 몸 때문에 바깥 출입을 못한 지 3년이 훌쩍 넘었고, 부인마저 치매에 걸려 요양원으로 떠난 뒤 함께 사는 장남과의 관계까지 악화돼 우울증을 겪고 있었다. 도움의 손길조차 받을 수 없었던 할아버지는 수면제를 모아 목숨을 끊을 준비를 하고 있었다.임종표(61) 노인상담사는 26일 “박 할아버지는 당시 매우 위태로운 상태였다.”며 “자식과 손주들의 미래를 생각해 극단적인 생각은 하지 말라고 만류했다.”고 말했다.
이후로도 노인상담사의 적극적인 관심과 상담으로 가족 간의 신뢰도 상당 부분 회복했다고 한다. 박 할아버지는 아들이 퇴근 후 집에 오면 “수고 많았다.”는 말도 건네고, 며느리에겐 용돈도 주면서 가족을 대하는 태도도 차츰 변했다. 요즈음 아들 부부와 한달에 두번씩 병원을 오가며 치료도 병행하고 있다.
지난 5월 자치구 최초로 노인상담센터를 연 영등포구는 전문적인 시스템을 갖추고 노인복지에 대응하고 있다. 구는 3개월 과정의 노인상담사 과정을 개설해 전문 상담인력도 육성했다. 과정을 이수하면 대한노인회 중앙회에서 노인상담사 자격증을 수여한다. 지금까지 225명의 노인상담사를 배출했다.
노인상담사들은 노인상담센터와 독거노인 지원센터에서 상담 활동을 하면서 독거노인과 1대1 찾아가는 상담, 복지사각지대 노인 발굴 사업 등을 함께 펼친다.
5개월 동안 노인상담센터를 통해 상담한 건수만 657건이다. 센터에서 병행하는 독거노인 돌보기, 경로당 방문 등 케어링 사업까지 포함하면 1989건에 이른다. 상담뿐 아니라 말벗을 찾아오는 노인도 적지 않다. 노인상담센터를 방문한 대림동 최모(77) 할아버지는 “생활에 도움되는 다양한 정보도 얻고, 상담사들과 즐겁게 얘기도 나눌 수 있어 좋다.”고 말했다.
구가 이처럼 적극적으로 행정을 펴는 것은 노인인구가 4만 2788명으로 지역 전체의 10%를 차지하고, 특히 독거노인이 9279명으로 급증세를 보이기 때문이다. 또 당산동 구 정신보건센터에서 맡는 노인 우울증 관리 대상이 481명에 이를 정도로 노인 문제는 주요 정책과제로 떠올랐다.
이에 따라 구는 지난해 조직개편을 통해 노인복지과를 신설하고, 공무원들에게도 노인상담사 전문 자격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글 사진 김지훈기자 kjh@seoul.co.kr
2011-09-27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