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격권 들려면 한문 포기 말아야
“사이시옷, 부사화 접사의 쓰임, 로마자 외래어의 표기, 합성법과 파생법, 비문 등 문법 부분 출제 가능성이 큽니다.” 9급 국가직 필기시험이 20여일 앞으로 성큼 다가왔다. 7일 이상민(47) 강사의 국어 마무리 대비법을 들어 봤다.●‘기미독립선언서’ 등 단골 지문 살펴야
→최근 출제 경향은. 꼭 출제될 것으로 예상하는 부분은.
-문법·한문·비문학 부분이 최근 중시되고 있다. 비문학에서는 주제 잡기, 지문 주고 순서 잡기, 단락 구성원리 파악하기 등이 단골로 출제되고 있다. 지문은 ‘기미독립선언서’, 김구의 ‘나의 소원’, 박종홍의 ‘학문의 목적’ 등이 자주 출제되므로 꼼꼼히 살펴야 한다. 또 한문에서는 사자성어·독음, 현대문학에서는 수사법·시 이론·소설의 기본 이해 부분을 꼭 정리해 둬야 한다. 고전 지문은 훈민정음 언해본·관동별곡·규원가에서 출제될 가능성이 높다.
●현대문법 비중 커… 기출 중심으로 정리
→9급 국어의 분야별 특징은.
-국어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현대문법이다. 20문제 중 10문제 가까이 출제되고 있다. 반면 문제를 푸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다. 기본서와 기출문제를 중심으로 꼼꼼하게 정리해 두면 큰 도움이 된다. 한문은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분야인데, 한문을 잡지 못하면 합격권인 90점 이상에서 멀어진다. 합격하려면 반드시 넘어서야 할 분야가 한문이다. 현대문학과 고전문학은 출제 가능성이 높은 지문을 미리 읽어 두어야 문제풀이에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빈출 지문을 꼼꼼하게 챙길 것을 권한다.
☞<정책·고시·취업>최신 뉴스 보러가기
→수험생으로 보내는 시간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세상에 거저 얻어지는 건 없다. 수험생 시절은 자신의 미래를 위해 투자하는 시기다. ‘축록자불고토’(逐鹿者不顧兎)라고 했다. 사소한 것에 얽매이지 말고 목표를 정해 나아가면 못 이룰 것이 없다고 본다.
김양진기자 ky0295@seoul.co.kr
2012-03-08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