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역사문화공원 활용 건의”
경기 포천 한탄강댐 수몰 예정지에서 후기 구석기 유물이 대량 출토돼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재)기호문화재연구원은 지난 2년 동안 한탄강 홍수 조절댐 수몰 예정지인 포천시 관인면 중리(늘거리)에서 화산암의 일종인 흑요석으로 만든 석기 1400점을 비롯해 1만 2000여점의 후기 구석기 유물이 발견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국내 대표적 구석기 전기 유적지인 연천 전곡선사유적지에서 출토된 6000여점 보다 2배나 많다. 앞으로 얼마나 더 출토될지 알 수 없다. 지금까지 4개 지점 중 2곳에 대한 발굴 조사가 마무리됐고 1개 지점에 대해선 진행 중이다.
기호문화재연구원 이동성 부장은 “지금까지 출토된 몸돌, 격지, 좀돌날과 이들을 이용해 잔손질한 다양한 종류의 밀개, 긁개 등은 시기별 석기 제작 기법과 특징을 알 수 있는 후기 구석기의 대표적 유물”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기호문화재연구원 발굴조사팀은 “흑요석(마그마가 급격히 식으면서 생긴 화산암)으로 만들어진 유물이 지금까지 10%에 이른다.”면서 한탄강 일대에서 과거 화산 활동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번 늘거리 유적은 기존 한탄강 유역의 후기 구석기 유적으로 알려진 강원 철원 장흥리 유적, 경기 포천 화대리 유적, 포천 어룡리 유적 등과 비교 연구를 할 수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
서장원 포천시장은 “수몰지구이지만 유적의 중요성이 크다고 판단돼 전문가 자문 등을 받아 현장을 보존하거나 이전 복원해 역사문화공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댐 공사 시행자인 한국수자원공사에 건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상봉기자 hsb@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