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당자 24→42% 대폭 확대… 일자리 상담 활성화 등 호평
사회복지 공무원의 과도한 업무부담이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올해 전면적인 동 기능 전환을 통해 주민센터 복지 담당 공무원을 대폭 증원한 서대문구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
서대문구 충현동 주민센터에서 홍형신(왼쪽)씨 등 복지담당 공무원들이 사례관리 회의를 하고 있다. 서대문구는 동 복지허브화 사업을 통해 올해 주민센터 복지 담당 공무원을 두 배 가까이 증원했다. 서대문구 제공 |
지난해는 동 주민센터 공무원 216명 가운데 복지 담당 공무원이 총 52명(24%)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207명 가운데 87명(42%)으로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뿐만 아니라 동장은 ‘복지동장’, 통장은 ‘복지통장’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복지인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일자리상담사와 방문간호사 26명을 추가 배치했다. 복지동장과 일자리상담사, 방문간호사를 모두 합하면 복지업무 수행 인력은 전체 주민센터 직원의 68%로 늘어난다.
구는 동 주민센터 단순 행정업무를 줄이기 위해 무인발급기를 대폭 늘리고 주차단속, 청소 등 5개과 12개 업무는 구청으로 이관했다.
무인발급기 이용을 독려한 결과 서류 발급 업무 가운데 무인발급기 발급률은 2011년 12월 3.5%에 불과했지만 지난 2월에는 52.5%로 15배나 늘어났다.
반면 일자리 상담창구를 활성화하자 1개 동 평균 상담건수는 1.8배, 구직등록은 15배 폭증했다.
찾아가는 복지를 위한 방문서비스도 일반 동은 연평균 550건이었지만 지난해 동 복지허브화 시범 사업을 펼친 충현동, 남가좌2동은 연평균 2765건에 달했다. 특히 보건소로 이원화된 의료서비를 일원화해 보건소 방문간호사를 동 주민센터에 전진배치함으로서 틈새 계층에게 더 많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새내기 직원인 홍형신(31·여)씨는 “복잡하고 곤란한 민원은 15년차 선배가 멘토가 돼 해결해준다”고 설명했다.
중앙정부의 관심도 집중되고 있다. 지난 2월 문석진 서대문구청장이 직접 청와대로 초청돼 동 복지허브화 사업 성과를 발표한 데 이어 진영 보건복지부 장관도 취임 나흘 만인 지난달 14일 북가좌동을 직접 방문해 “서대문구가 롤 모델이 되고 있다”고 격려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