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현장 여성인력 확충방안
2012년 13%인 여성 연구원 비중을 2017년까지 16%로 높이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여성 연구원 수가 약 1만 6000명 증가해 2017년까지 약 5만명이 산업현장에서 일할 전망이다.
우선 여성 연구원의 육아 부담을 덜기 위해 시간선택제 일자리가 확대된다. 시간제 일자리 창출 기업에는 정부의 인건비 지원을 1년간 월 60만원에서 80만원으로 확대하고, 2년간 국민연금·고용보험과 같은 사업주 부담의 사회보험료도 전액 지원한다.
공동 직장 어린이집 설치도 확대한다. 테크노파크를 중심으로 내년에 3곳, 2015년에 4곳을 만든다. 산업단지관리공단,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에도 조성할 예정이다. 육아 연계형 스마트워크센터도 2011년 2개에서 2014년 12개로 늘린다.
자동차·철강 등 여성 연구원 비중이 작은 업종을 중심으로 여성인력 활용 계획을 제출하도록 하는 제도도 추진한다.
여성 연구원 참여가 25% 이상인 기관에는 가점을 2점에서 5점으로 높여 연간 3조 2000억원 규모의 산업부 R&D 과제에 우선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2013-11-29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