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진 도봉구청장 ‘일일 동장’으로 현장 방문
“서명해 주세요.” 숲속생태공동체 ‘숲속애’의 공간지기 지은림씨가 공동체 후원을 위한 홍보물을 내밀었다. “저는 이미 출자했답니다.” 이동진 도봉구청장이 미소를 짓자 간사인 최소영씨가 거들고 나선다. “되돌려받으실 생각은 없으신 거죠?” “하하하, 호호호.”“홍보 공간이 필요해요. 널리 알려 많은 이들이 함께했으면 합니다.” “안타깝게 실패한 사업도 있어요. 조금 더 지원을 해 주면 안 될까요?” “임대주택이 생기더라도 공동체를 위한 공간이나 시설이 함께 들어오면 좋겠어요.” 의견들이 쏟아지자 이 구청장은 너털웃음을 터뜨렸다. “임기가 얼마 남지 않았는데 요청이 매우 많네요. 하하하.”
농담을 던졌지만 자부심으로 넘쳐나는 얼굴이었다. 그도 그럴 게 민관이 함께 마을 만들기 사업에 나선 것은 2011년, 서울에서 도봉구가 가장 먼저였다. 이 구청장은 여러 사회 문제에 대한 근본 해법이 공동체 회복이라고 여겼다. 박원순 시장이 취임하며 2012년부터는 시 정책으로 널리 퍼졌다. 한발 앞선 덕분일까. 도봉엔 자생적인 공동체가 수두룩하다. 60개나 된다. 그것도 공모를 통해 구나 시의 지원을 받은 것만 따져서다. “행정 분야에서 전례가 없던 일이었어요. 지난 3년은 먼저 공무원들이 공동체의 중요성과 의미를 깨닫고 시민 영역에서 자발적인 참여가 이어지며 서로에게 다가가는 과정이었죠. 부족한 예산은 열정으로 극복했습니다.”
최근엔 날개를 달았다. 옛 창5동주민센터에 마을 만들기 도우미 역할을 할 마을지원센터가 들어섰다. 생활예술로 공동체 생태계 조성을 지원할 마을예술창작소 ‘창고’도 함께 둥지를 틀었다. 지하 1층에 화목난로를 활용해 주민들이 직접 만든 친환경 마을 온돌방은 벌써 입소문을 타고 있다. “마을공동체가 우리 사회를 내부에서 변화시키는 소중한 씨앗이 될 것으로 확신합니다. 조금만 더 지나면 도봉구가 마을공동체의 대명사로 떠오를 거예요.”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4-03-07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