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까지 전체 정원의 48%로
앞으로 서울 동작구 영유아 2명 중 1명은 국공립어린이집에 다닐 수 있게 된다.
|
구는 내년 국공립어린이집 6곳을 동시 개원하는 것을 시작으로 2018년까지 18곳을 확충한다고 4일 밝혔다. 현재 지역에는 국공립어린이집 33곳이 있다. 정원은 모두 2700여명으로 전체 어린이집 정원 대비 약 30%를 차지한다. 이 비율을 2018년까지 4년 사이에 48%까지 끌어올려 ‘맘(MOM) 편한 동작구’로 만들겠다는 이창우 구청장의 민선 6기 공약을 실천에 옮기려는 것이다.
문제는 예산이다. 구는 내년에 개원하는 6곳 이외에 12곳의 개원 비용으로만 96억여원을 예상하고 있다. 비용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구는 민관 연대를 통한 무상 임대, 민간 어린이집의 국공립 전환, 공동주택 단지 내 설치 등 가능한 모든 방법을 찾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실제로 내년 개원을 앞둔 어린이집 6곳 가운데 절반이 종교시설 및 군부대시설 무상 임대, 경제계 단체와 양해각서(MOU) 교환을 통한 시설 기부채납 등의 방법으로 설치 비용을 최대한 줄였다.
구의 계획에는 올해 8월 12일과 지난달 30일 영유아 학부모, 어린이집 원장, 보육교사, 관계 공무원 등이 모여 ‘보육정책 토론회’를 개최한 결과를 반영했다. 이 구청장은 토론회 과정에서 민간 어린이집과 가정 어린이집으로부터 큰 틀에서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에 대한 공감대를 이끌어냈다. 구는 영유아 일시안심보호센터를 2018년까지 10곳 확충한다는 청사진도 내놓았다.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4-11-05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