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등포구, 이달 말부터 3개월간 진행
이번에 마련된 직업교육은 ▲택배원 직무교육 ▲도시텃밭 운영 교육 ▲직장상황 적응교육 등이다. 구 관계자는 “기술적인 교육도 중요하지만 실제 취업현장에서 장애인들이 어려움을 겪는 부분들을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무 중심의 교육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택배원 교육’은 보행이 가능한 장애인 50명을 대상으로 고객만족과 직무 교육을 가르친다. 배우는 내용은 ▲표정과 발음 ▲택배 수령 및 배달 매너 ▲호감 화법, 피해야 할 화법 ▲불만 고객 응대법 등이다. 구 관계자는 “교육 후반기에는 현장실습도 진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도시텃밭 교육은 발달장애인 5명을 대상으로 생산품 재배부터 수확, 포장, 판매 등 전 과정으로 구성했다. 구 관계자는 “텃밭 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교육을 통해 앞으로 푸드마켓이나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등에 취업시키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진행되는 직장 상황 적응훈련은 한마디로 ‘눈치 교육’이다. 구 관계자는 “어렵게 입사를 한 장애인이 직장생활에 적응을 하지 못해 그만두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이유를 살펴보니 직장 내 차별도 있었겠지만 장애인들이 어떻게 사회생활을 해야 하는지 모르는 것도 문제였다”고 설명했다. 구는 교육을 통해 직장에서의 인간 관계와 위기 상황 대처법 등을 알려줄 예정이다. 조길형 구청장은 “앞으로도 일자리 취약계층을 위한 취업 지원 프로그램 마련과 일자리 발굴에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5-08-0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