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30명 ‘만해로드’ 참가… 성북·속초 등 돌며 독립 뜻 기려
“지금 대학교 4학년이라 취직 준비로 마음이 바쁘지만 독립운동가인 만해 한용운을 기리며 여러 사찰을 찾아 좋은 기운을 받아서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습니다.”지난 11일 서울 성북구 심우장에는 형광색 조끼를 입은 청춘 30여명이 모였다. 심우장은 민족시인 만해 한용운이 말년에 직접 지은 집으로 일제강점기에 독립운동가들의 시신을 직접 수습하기도 했던 곳이다. 심우장을 시작으로 김동혁(25·국민대)씨를 포함한 대학생 30여명이 2박 3일간 ‘만해로드 대장정’에 올랐다. 김영배 성북구청장은 청춘의 대장정을 지켜보며 격려했다.
김 구청장은 성북구에 있는 심우장에서 입적한 만해의 삶을 기리는 일에 ‘한용운 선양사업 지방정부협의회’를 구성해서 뛰어들었다. 협의회에는 서울 성북구와 서대문구, 강원 속초시와 인제·고성군, 충남 홍성군 등 만해와 인연이 있는 지자체 6곳이 참여했다. 김 구청장은 “취업과 결혼까지 포기를 강요당하는 ‘N포 세대’ 젊은이들이 이번 만해로드 대장정에서 암흑 같던 일제 치하에서도 독립의 꿈을 버리지 않았던 한용운을 느끼고 용기를 얻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만해로드 대장정은 심우장에서 출발해 한용운이 공부했던 동국대 만해광장을 거쳐 그가 수행한 강원 고성 건봉사를 둘러보는 것으로 첫날 일정을 마쳤다. 둘째 날은 만해가 수행 생활을 했던 속초 신흥사와 백담사를 거쳐 인제군 만해마을에서 끝났다. 만해가 수감 생활을 한 서대문형무소에서 다시 심우장으로 되돌아와 지난 13일 만해로드 대장정의 막을 내렸다.
특히 만해가 ‘님의 침묵’을 쓴 백담사의 만해기념관에는 김 구청장뿐 아니라 이병선 속초시장도 동행했다.
지난 3월 구성된 만해 한용운 선양사업 지방정부협의회는 만해로드 대장정 외에도 만해를 기리는 여러 사업을 함께 펼칠 예정이다. 김 구청장은 “친일 세력을 척결하는 가장 빠르고 확실한 길은 우리가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는 것이고 그 중심에 만해 한용운 선사의 뜻을 세우는 일이 있다”며 “우리가 기록하고 지켜내는 역사가 바로 우리의 미래”라고 강조했다.
인제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2016-08-16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