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유공자 유족 집에 명패 다는 김선갑 광진구청장
“일제 식민지배에 맞서 피 흘리며 싸운 독립유공자들이 있었기에 대한민국 국민들이 외국에 나가서 어깨 펴고 살 수 있는 것 아니겠습니까.”김선갑 서울 광진구청장이 지난 8일 조상묵(81) 광복회 광진구지회장 현관문에 독립유공자 유족이 사는 집을 표시하는 명패를 달아준 뒤 머리 숙여 인사했다. 김 구청장은 이날 행사를 시작으로 독립유공자들의 숭고한 뜻을 기리기 위해 국가보훈처와 협력해 유족들의 현관문에 ‘명패 달아드리기’ 행사를 이어나갈 예정이다. 행사에는 어린이집 어린이 20여명이 참석해 손에 든 태극기를 흔들며 ‘아리랑’을 합창해 독립유공자의 희생과 공헌 정신을 되새겼다.
조 지회장은 부친과 조부가 모두 독립유공자다. 부친 조복선씨는 1982년 대통령표창을 받았고 1990년 건국훈장 5등급 애족장으로 승격됐다. 조부 조기수씨 역시 지난달 대통령표창을 받았다. 조 지회장은 “광진구에서 이렇게 신경을 써주니 할아버지와 아버지도 지하에서 기뻐하실 것”이라며 감격스러워했다.
조 지회장에 따르면 조부와 부친은 1919년 경북 안동 임하면에서 함께 3·1만세운동을 벌이다 체포됐다. 특히 부친은 주재소와 면사무소 등을 점령하는 등 만세운동을 주도했다가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받았다. 조 지회장은 “아버지는 고문 후유증에 시달리니 일을 못하고, 돈이 없어 병원 치료를 못 받았다”면서 “어린 시절 경찰과 친일파들이 찾아와서 행패를 부리곤 했다”고 회상했다.
김 구청장은 이날 행사에서 연말까지 구 차원에서 독립유공자 유족을 비롯해 민주유공자, 상이군경, 참전유공자, 무공수훈자들을 찾아뵙고 명패를 달아 드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구청장에 따르면 광진구에 있는 독립유공자 유족은 모두 47가구다. 광진구는 지난 2월부터 국가유공자에 대한 예우와 복지 향상을 위해 보훈예우수당(월 3만원)도 별도 지급하고 있다. 대상은 광진구에 주민등록을 두고 3개월 이상 거주하는 국가보훈대상자나 유족으로, 참전명예수당과 국가유공자 생활보조수당 지급 대상자를 제외한 1800명이 대상이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9-04-10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