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인도 놀러 오는’ 순천만국가정원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대구마라톤에 세계 엘리트급 17개국 160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지자체마다 청년 범위 들쭉날쭉… 인구구조·재정 형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관광·지역경제 활성화”… 지자체들 캐릭터 마케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궁·능 컨트롤타워’!… 국민 여가를 통촉하여 주시옵소서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관가 인사이드]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의 과제는


조선시대 임금이 연회를 베푼 장소인 경복궁 경회루에서 관람객들이 내부를 둘러보고 있다. 연간 1100만명 이상이 찾는 궁궐과 왕릉을 통합 관리하는 조직인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그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궁궐 전각과 왕릉의 개방을 확대하는 등 궁·능 활용 프로그램을 다양화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 등 4대 궁궐과 종묘, 조선왕릉은 연간 1100만명 이상이 찾는 우리나라의 대표 문화유산이다. 그 가운데 조선시대 궁궐의 전형을 보여주는 창덕궁과 유교적 왕실 제례 건축 공간인 종묘, 왕과 왕비의 무덤 유적인 조선왕릉은 역사·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도 등재됐다. 500년 이상을 이어온 조선시대 왕실의 문화와 역사 그리고 사후에 대한 당대의 인식이 고스란히 배어 있는 방대한 유산이지만 궁궐과 왕릉을 통합해서 관리하는 전담 행정조직은 지난 1월에서야 마련됐다. 지난 10일 출범 100일을 맞은 문화재청 소속 책임운영기관인 궁능유적본부다.


궁궐과 왕릉을 보존하고 관리하는 업무는 지난해까지는 문화재청 활용국 산하 궁능문화재과, 활용정책과, 조선왕릉관리소, 궁·종묘 관리소 등으로 나뉘어 운영됐다. 문화재청 내부에서는 궁궐과 왕릉을 총괄하는 조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이미 오래전부터 나왔다. 특히 2009년 조선왕릉 40기가 세계유산에 등재되면서 궁·능 활용에 대한 관심도가 크게 높아졌지만 전담 조직을 마련한 여건이 조성되지는 않았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기능과 업무의 성격이 유사한 각 유적의 관리소 등 개별 조직이 난립한 상황에서 유적 보존과 복원, 정비, 관람 서비스 등이 일원화되지 못한 점이 있었다”면서 “10여년 전부터 문화재청 내에서는 궁·능 전담 조직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됐고, 지난 5~6년 전부터 계획안을 구체화해 행정안전부 측에 조직 신설을 요청해 왔었다”고 설명했다. 궁능유적본부가 문화재청의 숙원 사업이었던 만큼 지난 1월 출범식에서 정재숙 문화재청장은 “궁궐과 왕릉은 문화재청이 심혈을 기울여 국민에게 다가간 유산”이라며 “궁능유적본부가 문화재청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정확히 보여주는 기관이 될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궁·능을 수리하고 복원하는 업무와 활용 업무로 이원화되어 운영하던 조직을 하나로 통합한 궁능유적본부는 궁능서비스기획과와 복원정비과, 4대 궁·종묘·세종대왕유적·조선왕릉 동부·중부·서부지구 관리소로 구성된 2과 9관리소 체제다. 직원은 공무원 210여명을 비롯해 매표, 안내 등을 담당하는 공무직 근로자까지 합하면 1000명이 넘는다.

궁궐과 왕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컨트롤타워가 마련됐지만 아직 내부 조직 체계는 ‘미완성’이다. 우선 전체 인력이 늘지 않은 상황에서 기존 관련 조직의 인력을 재편한 데 지나지 않는다. 현재 공모를 통해 선발 중인 궁능유적본부장 역시 실무 인력을 한 자리 줄이는 대신 마련한 자리다. 그 까닭에 청 내부에서는 “겉으로 보기엔 큰 조직으로 정비되어 인력도 는 것 같지만 궁능유적본부장 직위 하나만 생겼다”는 자조 섞인 이야기도 나온다. 특히 직원들 사이에서는 “업무가 늘어나서 물리적으로 힘든 가운데 조직에 대한 외부의 기대치가 높아져 부담이 크다”는 목소리도 있다.

또 기관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조직을 확대 개편해야 하는 상황이다. 궁궐과 왕릉은 기획, 복원·정비, 활용이 기본인데 현재 궁능유적본부에는 궁능서비스기획과와 복원정비과만 마련돼 있다. 정성조 문화재청 대변인은 “그간 궁·능의 보수·정비·유지 업무가 중점적이었다면 최근에는 창덕궁 달빛기행, 덕수궁 달빛산책 등 관람 서비스가 늘어나고 그에 따라 관람객이 증가하면서 대국민 현장 인력 증원이 필요한 상황”이라면서 “현재 조직의 큰 틀을 마련해 놓은 상황이니 추후 궁능활용과(가칭)를 신설하고 실무 인력을 단계에 따라 점차 늘려가야 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신생 책임운영기관으로서 문화재계 안팎의 큰 기대를 안고 출범한 만큼 궁능유적본부의 어깨는 꽤 무겁다. 올해 문화재청 주요 업무 계획 중에서 궁·능 보존 및 활용 방안이 비중 있게 다뤄진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으로 국민들의 여가 시간이 늘어나고 궁·능 관람객도 크게 증가한 만큼 궁능유적본부는 관람객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활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전력을 다한다는 입장이다. 궁능유적본부는 궁궐 전각 및 비공개 지역 개방 확대, 일제강점기 변형·훼손된 궁·능 정비, 장애인 관람객을 위한 무장애공간 조성 등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 확충을 올해의 주요 과제로 꼽았다.

나명하 궁능유적본부장 직무대리는 “2016년 4대궁·종묘·조선왕릉 관람객이 1300만명을 기록한 이후 연간 관람객이 1100만명대에서 머물렀는데 올해 1분기(1~3월) 관람객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9% 증가했다”면서 궁능유적본부 출범 이후 그간 공개하지 않은 전각 내부를 개방한 점이 주효했다고 분석했다. 나 본부장 직무대리는 “앞으로도 각 궁의 특색에 맞는 활용 프로그램을 개발해서 관람객들의 참여도를 높이고, 궁궐에 비해 활용도가 높지 않았던 왕릉으로 발길을 이끌 수 있는 둘레길 조성 등의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광화문 월대, 덕수궁 돈덕전 등 문화유산을 복원·정비하는 사업 역시 차질 없이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9-04-17 18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