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행정] 정책 제안 새겨듣는 정순균 구청장
작년부터 스마트 도시 정책학교 운영더 퀵 강남·초인종 눌러주는 약국 등
구청 직원들의 아이디어 언택트 발표
정 구청장 “구민 체감하는 성과 창출”
“단순히 스마트 기술을 도시에 적용하는 게 아니라 주민들이 필요로 하고 우리 강남구가 해결해야 하는 문제를 파악해 이를 스마트 기술로 푸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정순균 강남구청장)
서울 강남구가 포스트 코로나에 대응하기 위해 스마트도시로의 전환을 빠르게 추진하고 있다. 특히 직원들의 다양한 아이디어를 정책에 활용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스마트 도시 정책학교’를 개설해 운영하고 있다. 지난 20일 강남구청 회의실에서는 그동안 직원들이 고민해 만든 ▲의료·건강 ▲스마트 모빌리티 ▲리빙랩 전반 ▲환경 등을 주제로 한 아이디어가 발표됐다. 강남구 관계자는 “코로나19가 다시 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어 회의장에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준수해 최소한의 인원만 참석하고, 나머지 직원들은 강남구 홈페이지에서 생중계하는 영상을 시청했다”면서 “언택트를 이용한 회의와 성과발표를 더 늘려 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 구청장의 말대로 강남구가 추구하는 스마트도시는 단순히 첨단기술을 활용한 시설을 설치하는 것을 넘어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 이 때문에 이날 발표된 아이디어도 ▲더 퀵 강남 ▲미미we生지도 ▲초인종 눌러주는 약국 ▲야! 먹자! ▲문화센터를 정기구독하세요(월간 문센) ▲내 집 앞에 공연장 등 실제 주민들의 생활을 바꿀 수 있는 게 대부분이었다.
더 퀵 강남은 강남구의 ‘더 강남’ 앱을 이용해 최근 이용이 느는 전동킥보드 등 개인이동수단을 좀더 저렴한 가격에 구민들이 이용할 수 있게 돕는 프로그램이고, 미미we生지도는 개방형 화장실의 위치와 위생상태를 스마트기술을 이용해 주민들이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다.
이 밖에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에 대한 약 배송 서비스 ‘초인종 눌러주는 약국’과 코로나19로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난 아이들에게 맞춤형 도시락 배달을 해 주는 ‘야! 먹자’ 등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발표회에 참석한 정 구청장은 직원들의 발표를 수첩에 꼼꼼히 적으면서 구체적인 실행 방법과 함께 일부 아이디어에 대해선 현행법 안에서 실행이 가능한지 등을 물었다.
정 구청장은 “앞으로 ‘스마트 도시, 강남’에 걸맞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구민이 체감하는 성과를 창출하겠다”고 강조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20-08-26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