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GRDP 3808만원… 산업도시 도약
부동산업·정보통신업 성장률 가장 높아
구는 서울시 전체 평균(3.6%)은 물론 2위인 송파구(5.8%)와 3위인 강동구(5.6%)에 비해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특히 부동산업(26.3%)과 정보통신업(21.7%)의 성장률이 높았다. 구는 이를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먼저 성수동 지역을 중심으로 지식산업센터 유치에 힘썼다. 구의 노력으로 지식산업센터 분양 건수와 입주 기업이 2015년 이후 최근 4년간 급증했다. 2015년 363호에서 2018년 1234호로 3.4배가량 늘었다. 센터 신축에 따른 지방세도 2015년 62억 2000만원에서 2018년 185억 3700만원으로 3배 가까이 증가했다. 구는 지식산업센터 유치를 위해 용적률 완화, 취득세 50%와 재산세 37.5% 감면 등 과감하게 지원했다. 지식산업센터 62곳에 현재 기업 5000여개가 입주해 있다. 앞으로 지식산업센터 7곳이 추가로 들어설 예정이다. 지식산업센터 입주 업종은 주로 정보통신기술(ICT) 관련 제조업, 정보통신업, 과학기술서비스업 등이다.
구는 규제 개혁에도 적극적으로 나섰다. 최대 1개월이 걸리는 건축물 사용승인 절차를 5일로 대폭 단축하는 원스톱 서비스를 도입했다. 중소기업 육성자금 지원, 시장판로개척, 해외지사화 지원 등 차별화된 정책도 실시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이번 GRDP 자료를 통해 그동안의 지역 성장 모습을 여실히 살펴볼 기회가 됐다”며 “기업 경영 안정을 위한 다양한 지원으로 기업하기 좋은 도시의 이미지를 굳히고 경쟁력 있는 산업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