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 활동 감지 ‘서울 살피미 앱’
연말까지 중장년 880명 선정해 지원
|
이성 구로구청장 |
구 관계자는 1일 “코로나19 장기화로 대면 복지활동이 어려워지면서 돌봄 사각지대가 현실화하고 있다”면서 ‘서울 살피미 앱’을 운영하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
이 앱은 개인 휴대폰의 화면을 만지거나 버튼을 조작하는 활동 등을 감지한다. 대상자가 6~72시간 등 일정 시간 동안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동 주민센터와 보호자에게 위기신호 문자를 보낸다. 동 주민센터 담당자와 보호자는 대상자 이름, 휴대폰 미사용 시간, 위치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구는 오는 12월까지 총 880명을 선정해 지원할 계획이다. 명예사회복지공무원, 우리동네돌봄단 등 복지 공동체와 함께 지역 내 중장년 1인 가구 중 고독사 위험도가 높은 가구를 중심으로 앱 설치 대상을 발굴하고 있다. 선정된 대상자는 직접 앱을 설치하거나 동 주민센터 복지 담당 직원의 도움을 받아 이용 방법을 안내받을 수 있다. 위기상황이 발생하면 경찰서, 소방서와 협력해 긴급조치를 시행한다. 또 돌봄서비스나 경제적 지원 등 맞춤형 복지 서비스도 연계해 제공한다. 구는 앞으로 노인과 장애인, 만성질환자 등 돌봄 사각지대 주민 등으로 지원 대상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구는 중장년 1인 가구, 고시원 거주자 등 고독사 위험 222가구에 사물인터넷(IoT)에 기반한 ‘스마트 플러그’도 지원하고 있다. 전력 사용량과 조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IoT망을 통해 이를 전송하는 기기다. 이성 구로구청장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방식의 상시 돌봄 체계를 마련하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주민이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는 촘촘한 사회 안전망을 구축하겠다”고 전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21-08-02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