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1쪽 1m로 환산 코스 만들어
4만 2195쪽 읽으면 완주 인정
감상 등 홈피 올리면 누적 기록
전주시 올해 11회 대회 9월까지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로 실외 활동이 줄어들면서 지자체가 주관하는 독서 장려 프로그램인 ‘독서 마라톤’이 인기다. 지자체별로 해마다 1~3월에 시작해 9~11월까지 8~9개월가량 운영한다. 광주시가 2006년 처음 시작한 이후 전국으로 퍼졌다. 경기 용인·부천·가평, 강원 원주, 경북 김천, 전북 전주·익산·정읍, 충남 천안·보령 등에서 활발하게 이뤄진다.
독서 마라톤은 독서 활동을 마라톤에 접목시켜 책 1쪽을 1m로 환산해 정해진 독서 코스를 완주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코스도 3000m, 5000m, 1만m, 2만m, 4만 2195m 등으로 다양하다. 책 3000쪽을 읽으면 3㎞, 4만 2195쪽을 읽으면 마라톤 풀코스를 달린 것으로 인정한다. 홈페이지 일지에 도서명, 저자, 출판사, 읽은 쪽수, 감상문 등을 올리면 자신이 달린 거리가 누적 기록된다.
광주시의 경우 지난해(3월 8일 출발, 11월 12일 종료) 4만 5067명이 참여해 2만 853명이 완주하는 기염을 토했다. 코스별 완주자는 악어(5000쪽) 6821명, 토끼(1만쪽) 2574명, 타조 (1만 5000쪽) 1313명, 사자(2만 1097쪽) 923명, 호랑이(3만 1646쪽) 289명이다. 풀코스인 4만 2195쪽을 읽은 시민도 896명이나 된다. 올해도 초등부 3만 2583명, 중등부 6090명, 고등부 4354명, 일반부 1843명 등이 신청해 오는 3월 출발을 기다리고 있다.
‘인문학의 도시’로 불리는 전주시도 이달부터 ‘제11회 전주시 독서 마라톤 대회’를 시작했다. 9월 30일까지 8개월간 진행한다. 개인별 코스는 3㎞, 5㎞, 10㎞, 20㎞, 30㎞, 42.195㎞이고 독서 동아리 회원이나 가족 등이 함께 참여하는 단체전 코스는 30㎞, 풀코스다. 완주자에게는 문학기행 우선 참여권, 도서 반납 포인트 2배 적용 등 혜택을 준다. 전주시는 시민들이 원하면 거주지와 가장 가까운 곳으로 책을 배달해 주는 서비스까지 제공한다.
전주 임송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