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덕신공항~오시리아 연결
부산형 급행철도 2026년 착공
시는 12일 시민공청회를 열고 BuTX 노선과 차량 시스템 등 계획안을 발표했다. BuTX는 수도권 외곽에서 서울 도심 주요 지점을 연결하는 GTX의 부산형 모델이다. 신공항 접근성을 확대하고 부산의 심각한 교통 정체를 해결하기 위해 추진한다. 계획안을 보면 BuTX는 총연장 47.9㎞로, 정거장은 가덕신공항부터 강서구 명지동, 사하구 하단동, 북항(부산역), 해운대구 센텀시티, 기장군 오시리아 관광단지까지 6곳으로 계획했다. 2026년에 착공해 2030년에 개통하는 게 목표다. 추정 사업비는 2조 5860억원이며, 하루 11만 4000명이 이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BuTX는 지하 40m 이상 대심도 터널을 뚫어 최대속도 시속 198㎞, 주행속도 시속 180㎞인 수소 전동차를 운행할 예정이다. 시는 수소전동차와 박형준 부산시장의 공약인 하이퍼튜브, GTX에 도입될 예정인 고속전동차를 놓고 비교한 결과 수소전동차가 가장 적합하다고 결론 내렸다. 수소전동차는 수소를 구동 연료로 사용하는 차세대 교통수단으로 터널 단면적이 GTX 대비 60.5%에 불과해 더 경제적인 인프라 구축이 가능하고, 2030 부산세계박람회를 유치할 경우 기반 시설로 활용할 수 있다.
계획대로 구축되면 BuTX 가덕신공항에서 부산역까지 15분, 부산역에서 오시리아 관광단지까지 10분이면 도착할 수 있다.
부산 정철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