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지역 대학 출신 12%, 광주 등 88%
나주혁신도시로 이전한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 비율이 광주 출신에 편중돼 전남 출신은 상대적으로 소외받고 있다는 지적이다.신민호(순천6) 전남도의회 기획행정위원장은 지난 13일 기획조정실 소관 업무보고에서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제도가 시행되고 있지만 광주 출신에 비해 전남은 소외받고 있다”며 “지역인재채용 시 전남 몫을 사수할 수 있도록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한다”고 주문했다.
‘혁신도시 조성 및 발전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이전 공공기관 등은 신규 채용 선발예정 인원의 일정비율 이상을 지역인재로 의무적으로 합격시키도록 하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지역인재 채용 비율은 지난 2018년 18%에서 매년 3% 상향해 2022년도 이후에는 30% 이상 의무 채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신 의원은 “광주·전남 공동 혁신도시의 이전 공공기관이 채용해야 하는 지역인재의 절반은 전남지역 몫임에도 불구하고 지역인재 채용 비율을 보면 광주 등은 88%, 전남 지역대학 출신은 단 12%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신 의원은 이어 “지역인재채용은 소멸지역 대학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청년들의 타지 유출을 막기 위한 취지로 도입됐는데도 광주 출신자에 쏠림현상이 나타나는 제도적 맹점이 발생하고 있다”며 “제도의 도입 취지에 맞게 운영될 수 있도록 전남도에서는 절박한 심정으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무안 최종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