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는 오는 10월 김태흠 지사와 김동연 경기지사가 ‘베이밸리 상생협력 비전 선포식’을 공동으로 열고 초광역권 협력 사업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5일 밝혔다.
‘베이밸리’는 충남 천안·아산·서산·당진·예산과 경기 화성·평택·안성·시흥·안산 등 아산만 일대를 세계 경제 거점으로 육성을 위한 초광역, 초대형 프로젝트다.
반도체·수소경제·미래모빌리티 등 대한민국 4차산업의 새로운 경제산업을 선도하기 위해서다.
’베이밸리’ 사업은 2050년까지 33조원을 투입, 아산만 일대 지역내총생산(GRDP)을 세계 20위권 규모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도는 3대 목표와 10대 프로젝트, 20개 핵심 과제, 50개 세부 사업을 추려 실행 기반을 다지며 사업별로 소기의 목표를 달성 중이다.
모빌리티 분야는 구체적인 성과를 올리고 있다. 도는 미래 모빌리티산업 육성계획으로 자동차 부품 기업의 자율주행차, 친환경차 등 미래차 전환 전주기 지원 기반 융복합 혁신 허브를 구축 중이다. 자율주행 모빌리티 종합 기반 구축 등에 2조 1082억원 규모로 5개 사업도 기획 중이다.
모빌리티 기업혁신파크는 ‘자동차 수출입 물류단지·모빌리티산업 육성 거점지구 조성’으로 당진 송악읍 일원 50만㎡에 SK렌터카,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등과 2030년까지 2980억원을 투입해 추진한다.
충남형 UAM 기반 구축도 속도를 내고 있다. ‘그린 UAM-AAV 핵심부품 시험평가 기반 구축’ 사업은 2028년까지 320억원을 투입해 천수만 간척지 B지구 서산바이오웰빙연구특구 내 부품시험평가센터와 장비를 구축한다.
베이밸리의 핵심 사업인 충남경제자유구역은 천안·아산·서산·당진 등 4개 시 5개 지구 15.14㎢를 대상지로 선정해 조만간 정부에 지정 신청을 한다.
베이밸리 조성 지원 특별법 제정 사업은 올 하반기 법안 작성 및 입법 검토 작업을 거쳐 내년부터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2032년까지 2조 8000억원을 투입할 베이밸리 순환 고속도로 건설은 연내 기본설계를 추진하고 민자 사업으로 제안할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베이밸리는 수도권 집중 완화와 지방 주도 국가 균형발전 실현, 아산만권 경제 성장을 통한 국가 경제 성장 견인 등을 위한 힘쎈충남 1호 과제”라며 “2년간 사업 추진 발판을 다진 시기. 앞으로 2년은 구체적 윤곽을 드러내는 시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성 이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