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로움 예방 ‘365 서울챌린지’ 1기 참가자 5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도봉구, 서울시 자치구 최초 ‘자치경찰사무 지원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노원 캘린더엔 ‘힐링’ 가득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동대문 중랑천 바람길숲 ‘초록사잇길’ 걸으며 녹색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한국경제 1분기 ‘- 0.2% 역성장 쇼크’… 올 성장률 1%도 위태롭다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코로나 때도 없던 ‘네 분기째 0%대’
年 전망치 1.5%보다 크게 낮아질 듯
정치 불확실성에 美관세도 겹쳐
소비·투자·수출 모두 ‘뒷걸음질’
내수가 GDP 0.6%P 깎아 내려
반도체 수출도 예상보다 밑돌아




올해 1분기(1~3월)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이 전망치를 밑돌며 역성장했다. 지난해 2분기(-0.2%) 역성장 이후 제대로 반등하지 못하고 다시 후퇴하면서 올해 연간 경제 성장률도 한국은행이 당초 예상한 1.5%보다 크게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행은 24일 올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가 직전 분기 대비 -0.2%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글로벌 경기 둔화로 수출이 크게 꺾였던 2022년 4분기(-0.5%)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지난 2월 공식 전망치(0.2%)보다도 0.4% 포인트 낮다. 앞서 한은은 1분기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국내 정치 불확실성 장기화, 미국 관세정책 우려에 따른 3월 중 경제심리 위축 등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한국 경제는 지난해 1분기 코로나19 종식에 따른 기저 효과로 1.3% ‘반짝 성장’을 기록했지만 이후 바닥권 성장을 면하지 못하고 있다. 2분기 -0.2%, 3분기 0.1%, 4분기 0.1% 이후 올해 1분기 다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네 분기 연속 ‘0%대 성장’은 금융위기나 코로나19 때도 없던 일이다.

비상계엄 이후 급격히 위축된 소비심리가 탄핵 선고 지연 등 정치 불안 장기화로 살아나지 못했고 국내외 경기 불확실성에 따라 투자와 수출도 크게 뒷걸음쳤다.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오락문화 등의 부진으로 0.1% 감소하고 정부소비도 건강보험 급여비 지출이 줄어 0.1% 내렸다. 내수가 깎아 먹은 GDP만 0.6% 포인트다. 건설투자는 3.2% 줄고 설비투자도 기계류(반도체 제조용 장비 등)가 줄어 2.1% 감소했다. 건설업은 우리 GDP를 0.1% 포인트 깎아내렸다. 화학제품, 기계 및 장비 등의 수출이 줄면서 전체 수출은 1.1% 감소했다.

앞으로의 전망도 여건이 좋진 않다. 우선 미국의 관세 조치 영향이 본격화할 가능성이 크다. 1분기 수출 부진이 글로벌 경기 둔화와 제조업 부진으로 인한 전반적 수요 감소 때문이었다면 2분기부터는 관세 영향이 본격적으로 성장률에 반영될 것으로 전망된다. 철강·알루미늄 등 3월부터 부과된 관세의 영향이 2~3개월 시차를 두고 2분기에 나타나게 된다. 한은에 따르면 이달 1~20일 대미 수출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4.3% 감소했다.

관세 협상이 성공적이어도 성장으로 이어지는 건 아니라는 시각도 있다. 자동차·철강 등에 대한 25%의 품목 관세는 유효하고, 미중 관세전쟁은 두 국가를 1, 2위 수출국으로 두고 있는 한국 경제에 직격탄이 된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날 미 CNBC와의 인터뷰에서 최근 미국발 통상 갈등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한국은 수출 위주의 경제이기 때문에 통상 갈등이 확실히 큰 역풍”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지난 2월 한은이 예상했던 성장률 1.5% 달성은 요원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은이 예상한 성장 경로에서 1분기에만 0.4% 포인트 이탈한 것을 감안하면 올해 성장률은 단순 계산으로 1.1%지만 2분기 이후 미국 관세 영향이 본격 반영되면 0%대 성장도 배제할 수 없다. 앞서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한국 성장률을 2.0%(1월)에서 1.0%(4월)로 내렸으며 JP모건(0.5%) 등 외국계는 이미 0%대 성장을 전망했다.

박소연 기자
2025-04-25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Leaders Today

오세훈 시장 새달 세계도시정상회의 참석

오스트리아 빈서 3일 주택정책 소개 이탈리아 밀라노에선 K패션 등 홍보

“김포공항 인근 고도 제한 완화 새 기준, ‘국가별

강서구 “서울시 등과 긴밀히 협의”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