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심사단, 전통 죽방렴 현장 실사
울진금강송 산지농업시스템도 살펴
의성 전통수리농업 등도 등재 노려
경남 남해 전통어업인 ‘죽방렴’과 경북 ‘울진금강송 산지농업시스템’ 등 고유한 농·어업 유산을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등재시키려는 노력이 전국에서 이어지고 있다.
경남도는 지난달 12~14일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심사단이 남해 지족해협 일원에서 죽방렴 현장 실사를 벌여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실사는 죽방렴 구조, 작동 방식과 지역 주민 어업 활동, 농업과의 연계 구조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자 마련됐다. 유산 등재 요건을 충족하는지 국제 전문가가 평가하는 절차다. 식량·생계 안정성, 생물다양성, 전통적 지식 체계, 문화가치 체계, 환경 보전 등이 주요 심사 기준이다.
500년 이상 전승된 죽방렴은 조류가 빠른 해역에 참나무 기둥을 세우고 대나무를 엮어 넣은 ‘V자형’ 구조물이다. 물살과 물때를 이용해 고기가 안으로 들어오면 가뒀다가 건지는 재래식 어항이다. 실사단은 죽방렴과 마을 어장을 순회하고, 죽방 멸치잡이와 선별·가공 과정을 경험했다.
실사단은 15~16일 경북 울진으로 장소를 옮겨 금강송 산지농업시스템도 살폈다. 금강송 에코리움과 소광리 금강소나무 군락지·농가 일대에서 진행한 실사에서는 작은 물길인 봇도랑을 이용한 산지농업시스템과 산채 재배지를 들여다봤다. 전곡리 화전민 생가터와 화전민 체험관, 금강소나무 숲 가꾸기 현장, 두천리 주목촌, 십이령 옛길 등을 둘러봤다.
의성 전통수리농업, 완주 생강 농업, 강릉 창경바리 어업, 울진·울긍 돌미역 떼배 채취어업 등도 지자체들이 보전·관리 기본 계획을 수립하고 이행하는 등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를 노리며 활발하게 움직인다. 전통 농·어업의 역사성·상징성을 지키고 지역민 생계 수단으로 지속가능한 발전 등을 꾀하기 위해서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전통 농·어업 보호와 관련 지식이 국제적으로 인정 받는 데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가 큰 역할을 한다”며 “지역 관광지와 연계한 농·어촌관광 활성화 등 시너지 효과도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FAO가 2002년에 창설한 세계중요농업유산은 28개국 89개가 등재돼 있다. 국내에서는 완도·청산도 구들장 논, 제주 밭담 농업시스템, 금산 전통 인삼농업, 제주 해녀어업 등 7건이 올라 있다.
남해 이창언·울진 김형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