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거점지역 유치, 부처 기능 효율적
전국 최대의 재생에너지 잠재량을 차지하고 있는 전라남도가 기후에너지부의 전남 유치를 건의했다.
전라남도는 지난 20일 지역 재생에너지 정책과 현안 파악 등을 위해 목포를 방문한 국회입법조사처와의 간담회에서 재생에너지 제도개선 필요성과 기후에너지부 전남 유치를 강조했다.
전남도는 그동안 ‘기후에너지부’가 신재생에너지 거점지역에 자리 잡아야 부처 기능이 효율적이라는 입장을 주장해 왔다.
이날 간담회에서도 전남이 전국 해상풍력 발전 허가 용량의 61%인 18.7GW를 확보하고 있으며 2035년까지 30GW 보급을 목표로 에너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을 설명했다.
이에 앞서 김영록 전남지사도 “한국전력, 한전KDN, 한국전력거래소 등이 있는 광주·전남혁신도시 나주가 기후에너지부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실행 거점이자 최적 입지”라며 “최전선 현장에서 답을 찾아온 전남형 에너지 모델을 국가 정책으로 확산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유치 의지를 밝혔다.
농식품기후변화대응센터와 국립아열대작물실증센터, 해양 탄소흡수원 확충을 위한 국가해양생태공원과 블루카본 바다숲 조성 등 농수산 분야 기후변화 대응 플랫폼도 구축하고 있어 기후에너지부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적지로 꼽히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또 에너지 3법 정비와 지방분산형 전원체계 구축, 주민 참여형 모델 마련 등 입법과 정책 설계 반영도 건의했다.
무안 류지홍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