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성동구가 자체 공공 교통수단인 ‘성공버스’를 도입한 결과 마을버스 승차 인원이 약 60만명 증가했다고 12일 밝혔다. 운행을 시작한 지 300일 만에 전반적인 관내 대중교통 이용객, 이용량을 크게 늘린 것이다.
‘성공버스’는 ‘성동구 공공시설 무료 셔틀버스’의 약칭이다. 마을버스가 운행되지 않는 교통 소외지역을 경유하며 교육·문화·체육시설, 공공도서관, 동 주민센터 등 주민들이 생활권 내에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성동구가 서울시 열린데이터광장의 마을버스 승차인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10월 성공버스 도입 이후 마을버스 전체 승차 인원은 같은 기간 대비 7.18%(약 60만 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입 전인 2023년 10월부터 지난해 6월과 도입 후인 지난해 10월부터 지난 6월까지 9개월의 기간을 비교한 수치다. 서울시의 평균 증가율(2.36%)보다 약 3배 높다.
공공 셔틀버스를 도입하지 않은 인접한 자치구와 대비해서도 3.67~4.05% 포인트 높은 승차 인원 증가율을 기록하기도 했다.
또 성공버스 도입은 기존 마을버스 이용량 확대에도 기여했다. 성공버스와 노선이 일부 중복되는 마을버스의 승차 인원은 평균 7.96% 증가해 비중복 노선(4.78%)보다 3.18% 포인트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성공버스는 단순한 공공시설 셔틀버스가 아니라, 성동다운 교통 복지를 구현하는 기반”이라며 “앞으로도 교통 사각지대를 줄이고, 누구나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성동형 일상생활권’을 완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유규상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