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통 이후 16년간 투신 사고 89건
국토부·인천시·운영사 책임 떠넘겨
빨라야 내년 하반기 이후 설치될 듯
|
해마다 10여 건의 투신 사고가 발생해 국비 80억원을 들여 추락 방지 시설 설치가 추진되는 인천대교 전경. 연합뉴스 |
연간 10여건의 투신 사고가 발생하는 인천대교에 국비 80억원을 들여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을 설치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개통 16년 만에 정부가 뒤늦게 움직이면서 ‘늑장 대응’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28일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실에 따르면 인천대교 운영사 측은 2022년 11월 투신 빈도가 높은 지점에 4000만원을 들여 플라스틱 드럼통 1500개를 갓길에 설치했다. 그러나 본래 갓길 기능이 상실되면서 교통안전을 위협한다는 지적이 제기됐고, 2023년에도 10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하는 등 예방효과가 거의 없었다. 결국 해당 시설은 지난달 철거됐다.
이후 별다른 대안 없이 방치된 인천대교에서는 최근 한 달 사이 4명이 차량을 세운 뒤 투신해 숨지거나 실종됐다. 2009년 개통 이후 현재까지 누적된 투신 사고는 89건에 이른다. 사고가 반복되는 동안 운영사와 지자체, 정부 모두 책임을 미루면서 실질적 대책을 내놓지 못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상황이 악화되자 국토교통부와 인천시 등 관계 기관은 국비 80억원을 투입해 추락 방지를 위한 안전 난간을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국토부는 이미 내년도 본예산 편성을 마친 상태여서 국회 예산심사 과정에서 조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돼도 설치 완료 시점은 내년 하반기 이후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충동적 선택이 많은 투신 사고 특성상 최소한의 물리적 장치만 설치해도 상당한 예방 효과를 볼 수 있다고 강조한다. 윤효화 인천 중구의원은 “출렁거리는 그물만 쳐도 사고를 줄일 수 있는데, 국토부와 지자체, 운영사가 책임을 미루며 방치해 온 게 인천대교의 현실”이라고 비판했다.
한상봉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