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상권이동과 뉴타운 개발사업에 대한 기대 때문으로 풀이된다.
●옮겨진 상권,땅값 바꾸다
우리나라 패션을 주도하는 명동에서도 최고의 상권은 아바타에서 우리은행 명동지점∼명동성당으로 이어지는 ‘명동길’이 대표주자였으나 지난 2000년 지하철 4호선 명동역 개통에 이어 명동역 앞의 밀리오레 명동점이 입점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기존 20∼30대 외에 유행에 민감한 10대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명동의류에서 아바타로 이어지는 ‘중앙로길’이 최고의 바통을 이어받았다.유동인구로만 봐도 중앙로길에는 하루 평균 40만명대에 육박한다는 게 이 일대 부동산계 얘기다.
스타벅스 명동점 부지(163.9㎡)는 공시지가만 68억 7160만원으로,시세로는 150억원 정도에 이를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에 공시지가 공동 2위로 나타난 충무로 2가 66의13(㎡당 3910만원)과 충무로 3가 6의19(3910만원),4위인 명동 2가 31의7(㎡당 3850만원)도 밀리오레와 유투존 사이에 위치해 있다.
●뉴타운이 땅값 부추긴다?
시는 지난 1∼20일 2004년 개별공시지가 90만 6564필지에 대해 토지소유주와 이해관계인에게 열람하도록 하고 의견을 받은 결과,지난해보다 5.4% 줄어든 3020필지에 대해 의견이 접수됐다.
이 가운데 공시지가의 하향요구는 1927필지로 지난해의 2264필지에 비해 14.9% 감소한 반면,상향요구는 1093필지로 지난해의 930필지보다 17.5% 늘었다.
자치구별로는 뉴타운 사업이 진행중인 은평구가 하향요구(29필지)에 비해 상향요구(272필지)가 눈에 띄게 많았다.
마포구(상향 87필지,하향 21필지),구로구(상향 185필지,하향 113필지),강서구(상향 37필지,하향 17필지),성북구(상향 51필지,하향 31필지),성동구(상향 34필지,하향 11필지) 등도 상향요구가 많았다.이와 반대로 강남구의 경우 상향요구(36필지)에 비해 하향요구(679필지)가 훨씬 많았다.
서울시 이명우 토지조사팀장은 “뉴타운 등 각종 개발사업으로 인한 기대수익 때문에 상향요구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시는 의견이 접수된 개별공시지가에 대해 현장 재조사 실시와 감정평가사의 정밀검증 뒤 자치구 토지평가위원회 심의를 거쳐 5일까지 의견제출인에게 그 결과를 개별통지할 계획이다.
심의를 마친 열람지가는 30일 각 자치구별로 결정ㆍ공시된다.이의신청은 7월1일부터 30일까지 토지 소재지 구청에 제기할 수 있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