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남 거제 지심도 인근에서 낚시에 열중하고… 경남 거제 지심도 인근에서 낚시에 열중하고 있는 강태공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
●‘꾼’이라고 다 같은 꾼인 줄 안다면 큰 착각?
다대포 앞바다에서 ‘깜짝 쇼’를 연출한 한국프로낚시연맹(KPFA·Korea Pro Fishing Association) 회원 신난희(35)씨는 당찬 모험에 대해 담담하게 털어놓는다.
“새벽부터 오후 3시까지 바람 한 점 없는 날씨가 기상청을 비웃었다.이웃이 70㎝짜리 참돔 한 마리를 낚아올려 멋진 하루가 됐다.”
그는 귀여운 벤자리(알록달록한 줄무늬가 계절에 따라 변화무쌍해 인기가 높은 고기)를 만났으며 상사리(새끼 돔을 가리키는 전라도 말로 낚시꾼들 사이에 퍼져 널리 쓰이는 용어)가 철없이 굴다가 바늘에 걸려 올라와 방생하는 즐거움도 맛봤다고 덧붙였다.
현재 동호회 중심으로 파악된 낚시 인구는 300여만명이다.쉬는 날이면 가슴 한쪽에서는 미안해하면서도 때마다 가족을 헌 신짝 내팽개치 듯 낚시터로 훌쩍 떠나는 것은 그 만큼 묘미가 넘쳐난다는 얘기도 된다.
그러나 프로연맹 가입자들이야 말로 진짜 꾼인 셈이다.300만명 가운데서도 1000명 남짓으로 추려졌으니 말이다.KPFA는 1999년 3월 닻을 올렸다.모토를 ‘누구나 낚시를 할 수는 있다.그러나 누구나 프로가 될 수는 없다.’로 내건 데서 그들만의 자존심을 읽을 수 있다.
●‘왕중왕 중 왕중왕전’ 개봉 박두 “기대하시라”
KPFA 박진철(39) 사무총장은 “낚시꾼들은 보통 ‘뻥’이 엄청 세다는 얘기가 있다는데….”라는 물음에 웬 뚱딴지같은 소리냐는 표정으로 곧장 맞받아쳤다.출조(出釣)만 하면 월척을 낚았다고 뽐내면서 고기 크기에 대해 과장된 표현을 잘 한다는 얘기를 궁금히 여기던 차에 ‘미끼’로 던져 본 질문이었다.대표적인 것으로는 “팔뚝 만했다.”“낚싯대가 휘청거려 (고기를)끌어올리는 데 혼났다.”는 등의 말이 단연 손꼽힌다.
이에 대해 박 총장은 “우리 프로들은 취미를 떠나 서로 경쟁을 벌이는 사이이기 때문에 ‘피 튀긴다.’는 표현이 옳을 것”이라고 말했다.다음 달 14일부터는 프로 1000명 중에서도 으뜸을 가리는 페넌트레이스가 시작된다.메이저리그 격인 ‘챔피언십 시리즈’가 그것이다.
경남 삼천포 앞바다에서 열리는 대회에는 80강이 나선다.챔피언십 투어는 5년 동안의 점수를 따져 출전자격을 주고 있다.따라서 이 대회는 챔피언 중 챔피언을 뽑는 자리다.시리즈는 한 해 네 차례 이어진다.이름뿐 아니라 프로들의 모임에 걸맞게 매우 공정한 게임방식인 것이다.이번 대회 참가자의 경우 99년부터 지난해까지의 점수로 랭킹을 매겼다.1차 투어는 16일까지 이어진다.
●크면 좋다고 여기는 당신은 아직 설익은 ‘아마’
프로 명칭이 결코 ‘허풍’이 아니라는 점을 알려주는 사실은 또 있다.1부 리그에서 뛰다가 실력이 처치면 2부 리그로 강등된다.2부에서 상위 40위를 차지하면 1부로 올라가고,대신 1부에서 하위 40위까지는 다음 시즌을 맞아 2부로 내려가야 한다.회원들이 저마다 “우리를 물로 보지 말라.”고 큰소리를 칠 정도로 냉정한 프로의 세계가 엿보이는 대목이다.
2부 리그의 챔피언을 가려내는 시리즈도 있다.바로 96강이 겨루는 ‘드림투어’다.올 드림투어는 오는 29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열린다.장소는 역시 삼천포 앞바다로 결정했다.챔피언을 ‘먹으려면’ 예년의 경우로 살펴볼 때 얼마나 큰 고기를 잡아야 하는지를 묻자 박 총장은 이번에도 고개를 가로로 내저었다.
“여름철 인기 어종인 벵에돔의 경우 한국 최고기록이 55㎝로 나와 있습니다.하지만 진짜 낚시꾼(프로를 말하는 듯) 사이에서는 참돔 90㎝와 맞먹습니다.벵에돔은 맛이 기막히지만 힘이 워낙 세 웬만한 사람은 낚아올리기도 힘들다는 얘기죠.”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