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벤션 산업’은 동시통역 시설을 갖춘 대규모 회의장이나 연회장, 전시장 등을 갖춘 전용 컨벤션(대회, 또는 회의)시설에서 대규모 국제회의나 전시회를 유치하는 산업을 말한다.
서울시 강승규 홍보기획관은 “지난해 기준으로 컨벤션 참가자의 국내 평균지출액은 3592달러로 일반 관광객의 지출액 1890달러의 1.9배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생산·고용을 유발하는 데다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도시 마케팅을 촉진하는 컨벤션 산업을 육성해 아시아 컨벤션 허브로 도약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시는 이를 위해 언제 어디서나 각종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바탕으로 컨벤션 참가자에게 입국에서 호텔 예약, 관광까지 각종 컨벤션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U-콘퍼런스 서비스를 도입할 계획이다. 시는 이와 함께 산·학·연 협력체계를 통해 정보기술(IT)을 연계한 컨벤션 벤처산업을 지원하는 서울컨벤션벤처센터를 건립하고, 전문인력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시는 또 미국 뉴욕, 영국 런던, 일본 도쿄 등 컨벤션 중심도시의 주요 인사들을 초청해 컨벤션 육성을 위한 도시발전 전략을 논의하는 ‘세계 컨벤션시티 CEO포럼’을 개최하는 등 주요 도시와 전략적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해외 한인을 대상으로 한 국제회의 유치에도 나설 계획이다.
코엑스(COEX) 이광헌(43) 홍보팀장은 “국제회의 유치로 인한 국가·도시 이미지 제고를 감안하면 잠재가치는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로 크다.”고 말했다. 그는 “회의 뿐 아니라 관련 전시회를 동시에 개최하는 게 국제적인 추세로, 여기에는 그 도시의 국제적 이미지가 얼마나 강한 지가 지렛대로 작용한다.”고 덧붙였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